[세종=뉴스핌 조동석 기자]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자본확충 등을 위해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에 1조4000억원을 출자한다. 또 선박 61척을 신규 발주해 조선업을 지원한다.
정부는 22일 임시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추경 예산안의 주요 사업을 확정했다.
![]() |
기획재정부 송언석<가운데> 2차관이 정부세종청사에서 추경 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이에 따르면 정부는 구조조정 지원예산 1조9000억원을 편성했다. 수출입은행에 1조원, 산업은행에 4000억원을 각각 현금 출자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현물출자를 고려했으나, 추경이 편성되면서 현금을 출자하게 됐다”면서 “수은은 목표 BIS(10.5%)를 맞춰야 한다. 산은은 금융안정에 지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조조정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조선업 지원을 위해 해양수산부는 어업지도선 등 29척을, 국민안전처는 경비함정 등 23척, 방위사업청은 군함 4척, 환경부는 조사선 등 3척, 관세청은 밀수감시정 1척, 교육부는 실습선 1척을 각각 발주한다.
![]() |
<자료=기획재정부> |
지원 규모는 1000억원으로, 신규 발주 설계비와 일부 선박에 대한 착공소요비(총 건조비의 10%)만 반영한 것이다. 정부는 총 사업비가 1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선박 신규 발주로 조선업 분야에서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소기업 신용보강을 위한 보증·보험 확대 등에도 4000억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아울러 정부는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워진 지자체에서 발굴해 제안한 일자리 사업 및 직업훈련을 공모를 통해 지원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은 실직자 등 지역주민 9000명을 대상으로 한시적(4개월)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선업 밀집지역 6개 지자체(울산‧거제‧부산‧창원‧목포‧군산) 별로 1500명씩이다.
![]() |
부산의 경우 창업기업인턴, 울산 관광전문인력 채용, 군산 마을가꾸기, 거제 숲가꾸기, 창원 지역장터 일손지원단, 목포 공원정비 등이 주요 일자리다.
지역주민 등 1만2000명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도 지원한다. 지자체당 30억원 규모로 예산이 투입되며 조선업 근로자가 취업 가능한 대체 일자리 분야에서 직업훈련이 실시된다.
중소조선사와 기자재 업체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계SW시스템이 구축되는데,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해 전국 어느 곳에서 동시에 30개 기업이 접속해 설계SW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서버와 공동활용공간은 부산 중소조선연구원에 마련한다.
영암 대불산단에는 중소 조선소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박 성능테스트 시설이 구축된다.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