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1억㎞ 사망자수 12명에서 6명으로 감축 목표
[뉴스핌=서영욱 기자] 앞으로 달리는 열차에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면 열차가 자동으로 정지하고 고장이 난 부품을 스스로 고친다.
또 드론을 비롯한 첨단장비가 사람이 확인하기 어려운 시설물을 점검해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한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차산업 기술을 철도안전분야에 도입한 '스마트(SMART)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했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4차산업 기술을 철도안전분야에 적용해 오는 2027년 열차사고를 지난 2016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위험관리 시스템 개요 <자료=국토교통부> |
기본계획에 따르면 철도 부품과 선로에 센서를 설치해 이상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범사업을 올해 시행한다. 단계적으로 센서를 설치하는 부품을 늘려 관리 대상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차량이 정비고에 들어오면 정비‧교체 품목을 실시간으로 판단해 자동으로 정비하고 부품을 교체하는 기술은 하반기부터 적용된다. 3D 프린팅 기술로 유지관리 부품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또 차량‧부품 단위로 고장이력을 관리해 최적화된 교체 주기와 방법을 알려주는 차량이력관리시스템도 연내 마련하기로 했다.
지금 시범운영 중인 드론을 활용한 시설물 점검 활동은 오는 2022년까지 연장한다.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시설물상태 점검도 올해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교량이나 터널, 옹벽에 센서를 설치해 균열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기술이다.
인력이 투입되던 선로보수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보수장비를 투입한다. 노후장비도 현대화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로 했다. 시설이력관리시스템은 올해 시스템을 설계해 오는 2020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인공지능 센서가 철도 위험구간이나 운전자 졸음을 인지해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인지해 졸음을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한 비상대응 훈련도 시범사업으로 실시한다.
국토부는 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올해 시범적용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제안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연말까지 차량‧부품‧설비 제작에서부터 유지보수, 개량·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의 유지보수 방법과 절차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
열차 사고, 사망건수 감축계획 <자료=국토교통부> |
오는 2022년까지 열차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보수를 하거나 열차운행을 중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성과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열차운행과 작업 정보를 관제사와 기관사, 작업자가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선로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로 했다.
또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제사, 기관사, 승무원, 승객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LTE기반 재난방송시스템도 시범운영한다.
CCTV와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지능형 CCTV를 구축하고 위험물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판독시스템도 도입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주요 철도역의 공간정보를 3D 지도를 제작해 보안인력과 탐지견의 위치를 표시한다. 철도보안정보센터는 이를 모니터링하고 테러나 범죄 상황이 발생하며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한다.
이 같은 조치로 국토부는 운행거리 1억㎞ 사고건수를 지난 2016년 7.5건에서 오는 2027년 3.7건으로 줄이기로 했다. 같은기간 사망자수는 12명에서 5.9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4차산업 기술을 철도 분야에 적용해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서영욱 기자(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