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안('18~'22) 공청회 개최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지원확대 등 4대 전략 17대 추진과제 제시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5일 오후 1시30분 서울 양재역 엘타워에서 문재인 정부의 기초연구진흥 기본방향이 포함된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안('18~'22)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 제5조에 따라 범정부 차원으로 수립하는 기초연구분야 최상위계획이자, 기초연구 진흥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그에 따른 전략, 중점과제 등을 제시하는 5년 단위 중장기 계획이다.
![]() |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5월부터 학연산 전문가로 구성된 종합계획 수립 태스크포스(TF) 및 자문위원회를 운영, 연구자 및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통해 종합계획안을 마련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연구현장 및 대국민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5가지 기본 가치 및 10대 원칙을 제시, 이를 달성하기 위한 향후 5년간의 추진 전략과 과제를 설정했다.
4대 전략에 따른 17대 추진과제를 보면, 우선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지원 확대 ‘투자’ 전략에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 ▲연구자 수요를 반영한 지원 개편 ▲정부 연구개발(R&D) 기초단계 연구 지원 강화 ▲기초연구 종합 조정체계 개선의 과제가 제시됐다.
또 기초연구 지원체계 개선 ‘지원’ 전략으로 ▲젊은 연구자의 조기 연구정착 지원 ▲수월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지원 확대 ▲생애기본연구비 지원 ▲세계적 선도 기초연구기관 육성의 과제가 제안됐다.
이어 국민이 체감하는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효과’ 전략으로 ▲연구정보 공유체계 강화 ▲우수성과 발굴·확산 강화 ▲연구 장비·시설의 활용성 강화 ▲국제 협력 강화 ▲기초연구 사회적 역할 강화 과제로 설정됐다.
이 밖에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연구 몰입 환경 조성 ‘제도’ 전략에는 ▲연구수행의 유연성 강화 ▲연구과제 평가제도 혁신 ▲연구 행정 개선 ▲성숙한 기초연구 문화 조성 과제가 포함됐다.
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기초연구 환경 변화와 연구자들의 요구, 국민의 목소리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청취했다”며 “기초연구 진흥 기본방향 및 추진 전략·과제 수립에 반영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 의견을 반영한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안을 이달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