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2월 24일~28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중국 관영매체 앵커, '중국 사과론' 논란 확산
중국 관영매체 CCTV의 전(前) 앵커가 코로나19를 확산시킨 진원지인 중국이 전 세계에 사과를 해야 한다고 밝혀 논란을 일으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CCTV의 전직 앵커였던 추멍황(邱孟煌)은 지난 20일 자신의 웨이보(微博)에 '동아시아의 '병자'라는 간판이 부서진지 이미 한 세기가 흘렀다'며 '사죄의 의미를 담아 비굴하지도 거만하지도 않게 전세계에 고개를 숙여 폐를 끼쳐 미안하다고 말을 해야 되지 않을까"라는 글을 올렸다.
추멍황이 SNS에 올린 글(좌), 추멍황 앵커(우) |
이 소식이 온라인을 통해 전해지자 논란은 일파만파 번지면서 해당 글은 삭제됐다. 대다수 누리꾼들은 '추멍황이 중국인들이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치른 희생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누리꾼들은 '당신은 중국인이 되기 적합하지 않다', '20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위기에 빠진 14억 중국인들은 모두 피해자다. 누가 우리에게 사과해야 하나? 대중들이 무엇을 잘못했나' , '우리는 바이러스의 피해자이지 '제조자'가 아니다' 등 그의 발언을 힐난하는 반응이 주류를 이뤘다.
루자오싱(盧兆興) 홍콩교육대학(香港教育大學)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발생 원인에 대한 증거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에 비난의 화살이 쏠리고 있다'며 '코로나 사태에 따른 '반중국 정서'에 대한 반작용으로 과격한 애국주의와 같은 극단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막메뚜기 퇴치엔 '오리부대'?
약 4000억 마리의 사막 메뚜기 습격 위험에 중국이 파키스탄에 10만 마리의 오리를 보낸다는 '루머'가 포털 사이트 및 SNS에서 주목을 받으며 실시간 인기 검색어로 부상했다. 다만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이 났다.
사막 메뚜기는 지난해 가을 동아프리카를 시작해 서아시아·남아시아 각국을 휩쓴 후 최근 인접국인 파키스탄과 인도를 덮치면서 중국에도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이에 일부 매체들은 사막 메뚜기의 습격을 당한 파키스탄에 중국 당국이 저장성(浙江省)의 오리를 보내 현지 사막 메뚜기 퇴치 작업을 돕는다는 보도를 내놨다.
[사진=셔터스톡] |
다만 이 방안은 검토됐지만 낮은 실효성으로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펑파이신원(澎湃新聞)에 따르면, 중국의 메뚜기 방제업무팀은 지난 26일 파키스탄 카라치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를 통해 '파키스탄에서 오리를 통한 메뚜기 퇴치보다 농약 등 화학약품을 통한 방제가 더욱 현지 상황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최근 파키스탄에 전문가들로 구성된 메뚜기방제팀을 파견했다.
펑파이신원은 '오리를 통한 해충 퇴치는 오래된 역사를 지닌 중국의 전통 방제 방식이다'면서도 '다만 이 방법을 채택할 경우 방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소비 제한' 받았던 재벌 2세 왕쓰충 호화 생활로 '복귀'
막대한 채무로 한때 법원의 '소비 제한 명령'을 받았던 중국 완다그룹 회장의 외아들 왕쓰충(王思聰)이 해외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화제다.
지난해 10월 상하이 자딩구 (嘉定區) 법원은 왕쓰충에 대해 소비를 제한하는 명령을 내렸다. 당시 왕쓰충은 1억 5000만 위안(약 260억원)의 채무를 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후 왕쓰충은 주위의 도움을 받아 자산 동결이 해제되면서 그는 다시 '자유의 몸'이 됐다. 데이터 플랫폼 톈옌차(天眼查)에 따르면, 자산 동결이 해제된 왕쓰충 소유의 3개 기업 자산은 7200만 위안에 달한다.
왕쓰충이 SNS에 올린 일본에 체류중인 모습 [사진=바이두] |
현재 왕쓰충은 일본에 체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지난 21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일본의 고급 일식 레스토랑에서 즐긴 요리와 값비싼 술의 사진을 올렸다.
특히 2병의 고급 명주가 네티즌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이 중 몽라쉐(montrachet) 화이트 와인은 1986년에 제조된 한정판 주류로, 한 병당 가격이 약 1억 5000만 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일본 최고급 사케인 '코쿠류 무니'(黒龍 無二)의 가격은 약 126만 원에 달한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