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2월 셋째주 휴일인 19일은 '얼었던 대동강 물이 풀리고 나뭇가지에 새 싹이 돋는'다는 우수(雨水)이다.
경북 동해안권의 아침기온이 영상권인 3~9도로 오르고 낮 기온이 최고 14도에 육박하면서 봄 기운이 완연하다.
전국 최고의 용출온천인 경북 울진의 덕구온천을 품은 응봉산(999.7m, 매봉산)의 서북쪽 갈래인 덕풍계곡은 새 봄을 여는 기운으로 가득차 있다. 덕풍계곡은 행정구역으로는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이다.
'개구리가 긴 잠에서 깨어나 눈을 떤다'는 경칩(驚蟄)이 한 보름 남았는데 성급하게 겨울잠에서 깨어난 철없는 개구리들이 제 짝을 부르는 소리로 덕풍천이 왁자하다.
흡사 산중에서 열리는 오케스트라같다. 겨울 잠에서 깨어나자마자 제 짝을 부르는 소리가 묘한 화음을 이룬다.
백옥같은 바위 틈에 고인 웅덩이에 제 짝을 찾는 개구리들로 초만원이다. 웅덩이 가장자리에는 개구리알이 빼곡하게 붙어있다.
제 짝을 부르던 개구리들이 사람발자욱 소리에 웅덩이를 덮고 있는 나뭇잎 속으로 숨는다. 개구리 울음소리가 멎자 덕풍계곡은 순식간에 고요의 세계로 들어간다.
계곡의 가장자리를 지키고 있는 물푸레나무가 가지 끝에 새 순을 피워 올리고 새 봄을 열고 있다.
수 천년을 물살에 몸을 맡긴 백옥처럼 흰 바위 아래 물여울이 봄 햇살에 반짝이는 영롱을 만든다.
속살이 시리도록 명징하다. 어느 시인이 노래했듯 '물이 옷 벗는 소리'만이 산중을 울린다.
물소리에 가슴이 콩콩 뛴다. 공명이다.
겨우내 얼음장에 갇혔던 물살이 햇살 속으로 나와 제 길을 따라 흐른다. 물 소리만 청아하다.
오리나무가 붉은 새 순을 피워 올린다.
산 등성이와 봉우리를 넘나들던 햇살을 쫒아 덕풍천이 잔잔한 물결을 일렁이며 반짝인다. 현란하다.
내를 끼고 사찰 안내 입간판이 서 있다. '心心寺'이다. 정작 눈길을 끄는 것은 두 개의 목장승이다.
목장승의 배치가 절묘하다. 남(男) 장승 뒤로 여(女) 장승이 수줍은 듯 빼곡 머리만 내밀고 서 있는 형국이다. 남장승 뒤에서 빼곡 얼굴만 내민 채 아스라한 길을 바라보고 서 있는 여장승의 속내는 자뭇 무엇일까.
바로 곁에 세워진 장승 하나가 또 발길을 끈다. '別有天地'를 각인했다.
'칼둥보리교(橋)'. 이름이 낯설다. 개울을 따라 이어진 모룽이길을 굽어보고 있는 산마루가 '칼등'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사연을 알고 문득 산마루를 보니 영락없는 '칼등'처럼 생겼다. 그것도 오늘날 날렵하게 생긴 칼등이 아니라 시뻘건 가마에 갓 꺼낸 주물을 무작정 두들겨 만든 시골 대장장이의 투박한 칼등이다.
겨우네 응봉산에서 내몰아치는 골바람을 꼿꼿하게 견딘 억새무리가 덕풍천을 내닫는 바람에 흔들린다.
'바람보다 먼저 눕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는' 영락없는 민초의 모습이다.
산중의 어느 부지런한 사람이 고로쇠나무에 호스를 박았다. 다섯 줄기로 뻗은 고로쇠나무에 꼽힌 긴 호스가 눈길을 끈다.
새 봄의 정기를 먼저 맛보려는 산중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호사이다.
응봉산이 내닫다가 잠시 멈춘 내(川)를 낀 둔덕에 사람들은 모둠살이를 만들었다. 덕풍마을이다. 겨울기운이 여전하다. 한 노모가 마른 불쏘시개를 장만하고 있다.
덕풍마을 초입 비탈밭이 산중사람들의 바지런한 손길로 반듯하게 갈무돼 있다. 해가 짧은 산중마을에 삶을 풀어 놓은 산촌사람들의 바지런함이 함박눈처럼 묻어나온다.
마을 앞 모룽이 '칼둥보리교'를 지나오는 길섶에 겨우내 까치와 직바구리에 내주었던 오래된 감나무가 가지 끝에 감꼭지를 매달고 새 봄을 기다리고 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