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거듭 연기에 FI들 '7250억' 셈법 복잡해져
상장 성공시 자본 편입…케이뱅크 '운명의 해'
시장 불안·카뱅 부진하지만…몸값 하향 쉽지 않아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가 기업공개(IPO)를 철회하면서 코스피시장 입성 시기가 묘연해졌다. 케이뱅크는 금융시장 안정 후 재추진을 검토한다는 방침이지만 시장에서는 2026년 7월을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케이뱅크 자본의 36% 수준인 투자자의 회수 시한이 다가와서다. 재무적 투자자(FI)들의 입김에 몸값을 낮추기도 쉽지 않아 올 한 해는 기업가치를 끌어올려야 하는 '운명의 해'가 됐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8일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상장을 공식적으로 연기한 건 지난 2023년 2월 이후 두 번째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8일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상장을 공식적으로 연기한 건 지난 2023년 2월 이후 두 번째다. [사진=뉴스핌] |
지난해 상장 주관사단을 새로 꾸리며 IPO에 재도전한 케이뱅크는 같은 해 10월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까지 마쳤으나 부진한 성적표를 받으면서 상장 시점을 올 2월로 미뤘다. 예심 효력이 2월 말까지 유지되는 만큼 그동안 몸값을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한편 '연초 효과'(매년 1월 기관투자자들이 새해 자금 집행을 재개하면서 채권 시장으로 유입된 자금이 금리를 갖출 것으로 기대되는 현상)를 노리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재집권, 계엄·탄핵 정국 등 대내외적 불안으로 시장이 한껏 얼어붙으면서 케이뱅크의 '상장 시계'는 멈추게 됐다.
케이뱅크는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보며 외형 성장과 재무 건전성 제고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사전 준비 기간이 무기한으로 주어진 건 아니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1년 6월 베인캐피털·MBK파트너스·MG새마을금고·컴투스 등으로부터 7250억원을 투자받았다. IPO 완료일까지 내부수익률(IRR) 연 8% 이상을 보장하겠다는 조건이다. 내년 7월까지 이 같은 조건으로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FI들은 BC카드의 케이뱅크 지분을 포함해 보유 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권리(동반매도청구권)를 행사할 수 있다. FI가 동반매도청구권 행사를 결정하면 BC카드는 이들의 지분을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살 수 있는 권리)을 행사할 수 있는데 사실상 7250억원어치 채무를 떠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반대로 케이뱅크가 상장에 성공할 경우 7250억원은 케이뱅크 자본으로 편입된다. 애초 지난해 상장에 성공해 확보한 자본을 바탕으로 중소기업대출(SME)·개인사업자(SOHO) 대출에 진출하는 전략을 짰을 만큼 중요한 재원이다. 상장에 7000억여원이 채무로 증발할지, 아니면 자본으로 인정될지 달린 것이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케이뱅크 자본총계(1조9980억원)의 36% 수준이고, 순이익(1224억원)보다 여섯 배 큰 규모다.
시장 상황과 더불어 케이뱅크 상장의 큰 걸림돌은 몸값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9월 적정 시가총액으로 5조4048억원을 구했다. 상장 첫 도전 당시에는 기업가치가 최대 8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평가도 나왔지만 눈을 낮췄다. 희망 기업가치는 비교기업들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로 결정되는데 당시 PBR이 높았던 브라질 누뱅크(9.84배)가 비교기업 고려 대상이었지만 PBR 5배 이상을 '비경상적인 멀티플'로 보고 제외하는 등 보수적인 태도를 취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고평가 논란에 휩싸이며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했다.
먼저 증시에 입성한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같은 기간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발표에도 지지부진한 것도 몸값을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최근 21000원대에 형성돼 있는데 이는 상장 첫날(69800원) 대비 70% 상당 하락한 수치다. 발표된 밸류업 계획 자체도 주주환원 정책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유일의 코스피 상장 인터넷은행이라는 점에서 카카오뱅크를 안고 갈 수밖에 없는 케이뱅크로서는 답답한 상황이다. 실제로 케이뱅크와 주관사단은 지난해 상장 추진 과정에서 카카오뱅크를 비교기업에서 빼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현실화되지 못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상장을 연기하며 몸값 하향 조정도 고려했지만 FI들의 투자 수익률 하락 우려에 따른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케이뱅크로서는 올 한 해 시장에서 기대하는 몸값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 고객 수 1274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320만 명이 늘고,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1224억원)도 연간 최대 실적을 거뒀던 2022년(836억원)을 넘기는 등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상장을 통한 자급 유입이 없어 SME·SOHO 대출 영업을 안정적으로 펼칠 수 있을지가 과제다. 가장 부실한 채권으로 분류된 무수익여신이 다른 인터넷은행보다 많다는 것도 리스크다. 이밖에도 지난해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으로 업비트 예치금 이자율이 오른 것에 대한 투자자들 우려가 적지 않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축적된 자본 덕분에 SME·SOHO 대출 영업에 무리가 없는 상황이고, 무수익여신 역시 타행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건 사실이지만 분기마다 감소하고 있다"며 "업비트 예치금을 국공채, 머니마켓펀드(MMF) 등 현금화가 빠르게 가능한 안정적인 운용처에 운용하고 있는데, 높아진 이자율을 방어할 만한 수익을 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jane9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