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오피스·AI 어시스턴트로 실무 생산성 향상 기대
국회 이어 행안부까지…공공 AI 시장 연속 진출
중앙부처·지자체 대상 단계적 확산, 최대 70만 명 활용 전망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글과컴퓨터가 삼성SDS와 협력해 행정안전부의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하며, 공공 분야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13일,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5년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삼성SDS와 함께 국회 'AI 국회' 구축 1단계 사업을 수주한 데 이은 연속적인 공공부문 성과다.
이번 사업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의 지능형 워크스페이스를 공공업무 환경에 도입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생성형 AI, 웹 오피스, 협업 도구, AI 행정지원 기술 등을 결합해 공무원들의 업무 방식에 혁신을 가져온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존 '온나라 시스템'에서 분산 운영되던 메일, 메신저, 화상회의 등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AI 기반 협업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 |
한글과컴퓨터 로고. [사진=한글과컴퓨터] |
한컴은 이 사업에서 웹 오피스 솔루션 '한컴오피스 웹'과 AI 문서 도구 '한컴어시스턴트'를 SaaS 형태로 공급한다. 이 솔루션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속 가능한 실시간 공동 편집 기능과, 문서 초안 생성 및 보고서 자동화 기능을 통해 공무원들의 반복 업무 부담을 줄이고 핵심 행정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올해 두 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1단계 시범 도입되며, 2026년부터는 모든 중앙부처, 2027년 이후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순차적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약 70만 명에 이르는 공무원이 클라우드 기반 웹 오피스와 AI 협업 도구를 활용하게 되는 대규모 디지털 전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컴은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공공부문 AI·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 사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앞서 성공적으로 수주한 국회 'AI 국회' 사업에서도 한컴은 검색 증강 생성(RAG) 기반의 AI 질의응답 솔루션 '한컴피디아'와 문서 자동작성 도구 '한컴어시스턴트'를 특화 적용하며 입법 기능의 디지털화와 정책 지원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한컴은 국회와 행안부의 주요 프로젝트에 연이어 참여하며 AI·클라우드 융합 기술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입증했다. 회사는 이번 기회를 바탕으로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지능형 관리체계 구축 사업은 한컴의 AI, 클라우드, 협업 기술이 공공업무 혁신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준 계기"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행정 혁신에 기여하며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