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소외 지역 해소 위한 새로운 노선 검토
광역철도와 버스 간 환승 체계 강화 계획
수도권 교통 중심도시로의 도약 전략
[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가 광명 전역을 역세권화하기 위한 추가 철도노선 신설을 검토 중이다.
광명시는 22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광명권 광역도시철도망 기본구상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도시 내 철도순환망과 환승체계 구축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
박승원 광명시장이 22일 오전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광명권 광역도시철도망 기본구상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광명시] |
이번 연구는 철도노선 신설을 통해 전체 지역을 역세권으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을 포함하고 있다.
광명시흥 3기 신도시에 대한 개발과 함께 추진 중인 7개 철도노선의 신설 후 발생할 철도 소외 지역을 조사하여, 노선 신설 방안을 마련하고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순환망 구축이 목표다.
현재 신안산선과 월곶판교선은 공사 중이며, 수색광명 고속철도(KTX)는 이르면 연내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사업 발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광명시흥선은 국토부의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확정됐고 신천하안신림선, GTX-D, GTX-G(숭의포천선)는 국토교통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7개 노선이 대부분 광명 서측에 집중되어 있어 동측 지역의 철도 서비스 부족이 우려된다.
![]() |
박승원 광명시장이 22일 오전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광명권 광역도시철도망 기본구상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광명시] |
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측 연결 노선의 신설을 추진하고 단절된 노선을 순환형철도망으로 전환해 도시 전체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또한, 철도노선 간 환승 연계를 강화해 실질적인 순환망을 구성하며 광역철도와 버스 등 교통수단 간 환승 편의성을 높여 광명을 수도권 대중교통의 허브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아울러 첨단 모빌리티 및 개인형 이동수단(PM)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복합 환승체계를 도입하고 미래 지향적인 도시교통 전략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철도 비전은 수도권 교통·경제·문화 중심도시로 거듭나는 핵심적인 동력이 될 것"이라며 "광명시는 수도권 남서부의 주요 교통거점으로 도약할 철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도시 전체가 지속 가능하며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철도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박승원 광명시장이 22일 오전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광명권 광역도시철도망 기본구상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광명시] |
시는 올해 말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광역철도망 실현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할 계획이다.
보고회에는 박승원 시장과 시 철도 관련 국·과장, 홍찬표 도시공간 대표, 이호 한국교통연구원 철도교통연구본부장 및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참석했으며 경기도 및 인근 지자체 관계자들이 함께 광명시의 철도 비전과 지자체 간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