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분기 영업이익 3조6016억원...전년비 15.8%↓
기아, 2분기 영업이익 2조7648억원...전년비 24.1%↓
'관세 여파' 현대차 8282억원·기아 7860억원 손실
가격 전략·현지화 및 인센티브 축소 등 적극 대응 예고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 25% 관세' 여파에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한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오는 8월 1일 발효 예정인 상호관세와 별도로 이미 지난 4월부터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발효돼 본격적으로 관세 피해가 반영된 첫 분기였다. 관세로 인한 양사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 손실 규모는 1조6142억원에 달한다.
현대차·기아는 하반기에 더욱 험난한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내다보며 가격 전략, 현지화 전략, 인센티브 축소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불확실성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 |
현대자동차 2025년 2분기 실적 [사진=현대차] |
현대차는 지난 24일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조6016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15.8% 감소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48조2867억원(자동차 37조302억원, 금융 및 기타 11조2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이 매출액 증가에 힘을 보탰다.
도매 판매는 106만5836대, 경상이익 4조3853억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라고 말했다.
기아는 25일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4.1% 감소한 2조764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9조3496억원으로 6.5% 증가했다. 경상이익은 3조2억원으로 25.7% 줄었고,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은 2조2682억원으로 23.3% 감소했다. 총 판매는 81만4888대(도매 기준)로 2.5% 증가했다.
기아 관계자는 "미국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신차 출시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판매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국 관세 발효로 손익 영향이 있었으나, 주요 시장 볼륨 성장,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ASP 상승 및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견조한 수익성 펀더멘털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2025년 2분기 기아 실적 [사진=기아] |
현대차와 기아 모두 매출액은 지난해 2분기보다 성장하며 '분기 최대 매출'이라는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분기 최대 매출에도 영업이익이 15.8%, 24.1% 급감한 것은 이론의 여지없이 미국 관세 때문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모두 25% 관세 부과 후에도 미국 현지 가격을 인상하지 않았다. 그 결과 현대차는 미국 관세로 8282억원, 기아는 7860억원 규모의 영업이익 손실을 입었다.
문제는 아직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 정부 역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필두로 한 대미 관세협상팀을 꾸렸지만 아직 낭보는 들려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은 먼저 협상을 끝내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고, 자동차는 12.5%(기존 관세 포함 15%) 관세율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냈다.
현대차와 기아 역시 2분기에는 관세 여파가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히며 하반기 상황은 더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다.
현대차는 전날 실적 발표 후 개최한 컨퍼런스콜에서 "관세 영향과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2분기는 풀코스로 관세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다. 관세 영향으로 3,4분기에는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기아 역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의 관세 영향을 5월부터 받기 시작했다.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관세라는 외부 변수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워싱턴D.C. 로이터=뉴스핌]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존슨(공화루이지애나) 미국 연방 하원의장,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가 자리한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
현대차와 기아는 '고난의 행군'이 이어질 하반기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새로운 전략을 빠르게 따라가는 기업)에 기반한 가격 전략, 현지화 전략, 인센티브 축소 등 다방면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단기 대응 방안으로는 경쟁사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 인센티브와 가격전략을 실시하고, 재료비, 가공비 절감은 물론 부품 변경을 추진해 생산 효율화를 통한 근본적 대응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새로운 전략을 빠르게 따라가는 기업)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며 "관세에 따라서 가격 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고 했다.
기아도 "미국 생산 물량은 전적으로 미국 내에 먼저 공급하는 전략을 펼 것"이라며 "한국에서 생산한 물량은 캐나다 등 다른 시장으로 수출을 돌려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상반기에는 관세 영향이 있었지만 회사의 적극적인 대응은 없었던 상황"이라며 "하반기에는 인센티브 축소, 부품 관세 환급 등 다양한 차원으로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