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중 최대 규모…총 131억 원 투입
'믿:음 2.0' 기반 실무 특화 AI 서비스 제공
법률·안전·교육·의료 전 분야로 AI 확대 추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는 28일, 경기도가 추진하는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의 주관사로 선정돼 본격적인 사업 수행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 131억 원 규모로,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최대 수준의 생성형 AI 행정 적용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KT는 약 11개월 동안 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믿:음 2.0'을 경기도 행정환경에 맞춰 적용하고, 통합형 LLM 운영 플랫폼 'KT AI Studio'를 통해 시스템 구축과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한다. 또한 문서작성, 회의관리, 정보검색 등 실무 행정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KT 외에도 엠티데이타, 와이즈넛, 코난테크놀로지, 대신정보통신 등 총 5개 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 생성형 AI 기반 플랫폼을 공동 구축한다.
![]() |
KT 로고. [사진=KT] |
KT는 이를 통해 공공 분야에서의 생성형 AI 실증 사례를 축적하고, 향후 광역지자체 단위의 디지털 행정 혁신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믿:음 2.0'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에 특화된 행정자료를 적용해 실제 업무 효율성과 국민 대상 정보 접근성을 모두 향상시킨다는 구상이다.
KT는 이와 별도로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도 참여해 공공 분야 AI 활용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믿:음 2.0'을 중심으로 공공 부문에서의 AI 역량을 입증하며, 국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모두를 위한 AI' 실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KT는 현재 법률·안전·교육·의료 등 4대 분야에 걸쳐 AI 서비스 라인업도 마련하고 있다. ▲AI 기반 판례 요약 및 법률 상담 ▲범죄 예측 및 대응 ▲AI 학습 코치 ▲AI 간호행정 서비스 등을 통해 실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구체적인 특화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유용규 KT Enterprise부문 공공사업본부 전무는 "이번 사업은 대규모 지자체의 행정업무에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상징적인 첫 사례로, 단순한 모델 적용을 넘어 데이터 연계와 실무 지원까지 포괄하는 디지털 행정 혁신의 출발점"이라며 "KT는 '믿:음 2.0'을 기반으로 공공기관 수요에 맞춘 AI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