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확대 시행으로 직접적인 규제대상인 아파트는 물론 연립,다가구, 근린시설 등 일반 경매물건에도 입찰자 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경매정보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부동산경매 응찰자수는 2193명으로 전달(3941명)대비 44.35%감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936명)이후 10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며, 월간 단위 감소폭으로도 금융위기가 극성이던 지난해 10월(-30.09%)보다 높았다.
이같은 현상은 보통 경매시장을 찾는 사람이 응찰자수의 2~3배 수준임을 감안할 때 1개월 사이 서울 경매시장에서 무려 5000명 가량이 증발한 셈이다.
서울지역 응찰자수는 지난해 11월 817명을 최저점 이후 ▲1월 2,421명 ▲2월 3,593명 ▲3월 3073명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다 올 7월에는 4,242명으로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응찰자수는 여름 비수기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세를 기록하다 지난 10월 제 2금융권으로 DTI규제가 확대되면서 크게 감소됐다.
실물경기에 민간한 근린시설이 617명으로 60.65%감소하면서 가장 두드러졌고, 뒤를 이어 아파트 1108명으로 48.22%, 연린·다가구를 비롯한 기타 부동산이 각각 43.34%,42.11%감소했다.
이와함께 정부의 제2금융권에 대한 DTI규제 확대 시행으로 직접규제 대상인 아파트 뿐 아니라 경매시장 전체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아파트 시장에서는 강남3구의 감소세가 심화되면서 매매시장에는 수천만원씩 저렴한 급매물이 쏟아졌고, 지난달 응찰자수는 9월 대비 65.80% 감소한 250명으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디지털태인 이정민 팀장은 “실물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기간에 경매시장이 과열되다 보니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특히 매매시장까지 침체현상과 겨울 비수기까지 겹쳐 당분간 시장 붐업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