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G20] 모스크바 G20 재무장관회의 코뮈니케 전문(2)

기사입력 : 2013년07월20일 22:14

최종수정 : 1970년01월01일 09:00

9. Strengthening the existing practices of public debt management is an important means of achieving more resilient public finances. We welcome the intention of the IMF and the World Bank to review and update the “Guidelines for Public Debt Management” in light of the experience to date. We look forward to a progress report to the Leaders’ Summit in September and initial suggestions for updating the Guidelines by our October meeting. We also call on the OECD for an interim report on its update of OECD leading practices for raising, managing, and retiring public debt, including on state guarantees, by our next meeting.

10. Events in the past years have shown the importance of debt sustainability for all countries. We, therefore, endorse continued attention to this issue in the activities of the IMF and the World Bank and confirm our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MF – World Bank Debt Sustainability Framework for low-income countrie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financing and sustainable growth.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HIPC Initiative and MDRI, stronger policies, and improved economic prospects have helped expand and diversify external financing opportunities for low-income countries, which they can usefully employ to increase their growth potential. However, unless new financing and borrowing are undertaken prudently, new risks may emerge. We, therefore, ask the IMF and the World Bank to continue assisting low-income countries at their request in developing prudent medium-term debt management strategies and enhancing their debt management capacity. To better inform our practices, we will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MF-World Bank Debt Sustainability Framework for low-income countries. We agree that further inclusive discussions with low-income countries are needed on these issues.
11. Regional Financing Arrangements (RFA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isting global financial safety net. In Cannes our Leaders adopted common principl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IMF and RFAs. We reaffirm these principl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safeguarding the mandate and independence of the respective institutions. Recognizing recent work undertaken in this area by both the IMF and G20, we look forward to a flexible and voluntary dialogue between the IMF and RFAs on an ongoing basis through well-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s. We also take note of the importance of a dialogue among RFAs to foster an informal exchange of views and experiences in a flexible and voluntary way.

12. We note the work undertaken by the IMF and BIS in developing indicators that reflect global liquidity conditions, looking both at price and quantity-based measures. We call on the Fund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with a view to develop proposals on how to incorporate global liquidity indicators more broadly into the Fund's surveillance work.

13. We reiterate that effective local currency bond markets (LCBM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domestic economy and financial systems. We welcome the preparation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Os) of the LCBM Action Plan Implementation Report, which describes the efforts taken to improve the coordination of technical and advisory assistance for LCBM development. We welcome the Diagnostic Framework on LCBM prepared by the IMF, the World Bank Group, the EBRD and the OECD

as part of the Action plan. We look forward to annual review by IOs of developments in LCBMs in light of their contribution to financial stability and better capital flow management. We encourage IOs, other technical assistance providers, and country authorities to consider the use of the Diagnostic Framework in identifying and setting reform priorities in support of LCBM development.

14. We reiterate our commitment to contribute to a successful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 17 replenishment, as well as African Development Fund (AfDF) 13 replenishment.

Financing for Investment

15. We reiterate the importance of long-term financing for investment, including in infrastructure and SMEs, for sustainable growth and job creation. We endorse the work plan, prepared by the Study Group, and welcome the contribution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helped us to assess factors affecting the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long-term financing for investment, including in infrastructure and for SMEs. In this regard, we welcome the “High-Level Principles of Long-Term Investment Financing by Institutional Investors” elaborated by the OECD in consultation with the G20 members and call on the OECD to identify approaches to their implementation in consultation with participants. We look forward to future contributions by IOs which aim to assist countries in facilitating and promoting long-term investment. We look forward to the FSB’s ongoing monitoring of the impact of financial regulatory reforms on the supply of long-term investment financing.

16. We will undertake further work on measures to facilitate greater intermediation of global savings to generate long-term financing for productive investments, including in infrastructure. We will explore how private sources of financing and capital markets can be better mobilized. We also look forward to building on the ongoing work of the MDBs to develop new approaches in order to optimize the use of their existing resources, including through leveraging private capital, and to strengthen their lending capacity. We take note of the work underway respectively at the World Bank Group and at the regional banks to mobilize and catalyze financing for infrastructure investment, particularly in emerging markets and developing countries. Our efforts to address global infrastructure gaps will focus on the areas with considerable needs, including the power and energy sector in Sub-Saharan Africa.

17. We recognize the paramount importance of the investment climate in attracting long-term financing. Accordingly, in identifying impediments to the mobilization of private capital, we will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which includes financing for infrastructure and SMEs. In this regard, we are committed to taking further actions to improve investment conditions. Furthermore, improving processes and transparency in relation to the planning, prioritization and funding of investment projects, especially in infrastructure, remains essential. Particular attention will also be given to approaches to improve the design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arrangements

Addressing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BEPS), Tackling Tax Avoidance, Promoting Automatic Exchange of Information, and Fighting Non-cooperative Jurisdictions

18. Ensuring that all taxpayers pay their fair share of taxes is a high priority in the context of fiscal sustainability, promoting growth, and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to build capacity for financing development. Tax avoidance, harmful practices and aggressive tax planning have to be tackled. The spread of the digital economy also poses challenges for international taxation. We fully endorse the ambitious and comprehensive Action Plan submitted at the request of the G-20 by the OECD aimed at addressing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BEPS) with a mechanism to enrich the Plan as appropriate . We welcome the establishment of the OECD/G20 BEPS project and encourage all interested countries to participate. We look forward to regular reporting on the development of proposals and recommendations to tackle the 15 issues identified in the Action Plan and commit to take the necessary individual and collective action with the paradigm of sovereignty taken into consideration. We acknowledge that effective taxation of mobile income is one of the key challenges. Profits should be taxed where functions driving the profits are performed and where value is created. In order to minimize BEPS, we call on member countries to examine how our own domestic laws contribute to BEPS and to ensure that international and our own tax rules do not allow or encourage multinational enterprises to reduce overall taxes paid by artificially shifting profits to low-tax jurisdictions.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정후, MLB 첫 2경기 연속 대포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이정후가 미국 진출 후 처음으로 2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샌프란시스코는 그동안 이정후가 홈런을 친 6경기(지난해 2경기)에서 100% 승률을 거뒀지만 처음으로 승리 공식이 깨졌다. 이정후는 15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오라클파크에서 열린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4-8로 추격한 7회 투런 홈런을 날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15일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7회 2점 홈런을 날린 뒤 맷 윌리엄스 코치의 환영을 받으며 3루 베이스를 돌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전날 애리조나전 8회 3점 홈런에 이어 이틀 연속 아치를 그린 이정후는 시즌 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는 7-8로 아쉽게 졌다. 지난해 데뷔한 이정후가 2경기 연속 홈런을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한 경기 홈런 2개를 발사한 적은 있었다. 3번 7회 무사 1루에서 네 번째 타석에 선 이정후는 애리조나 세 번째 투수인 우완 라인 넬슨을 맞아 원볼 투스트라이크에서 4구째 시속 138㎞ 체인지업을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겼다. 타구 속도는 시속 164㎞가 나왔고 비거리는 120m였다. 넬슨은 지난해 애리조나에서 선발로 뛰며 10승(6패 평균자책점 4.24)을 기록한 빅리그 4년차 유망주다. 3번 중견수로 출전한 이정후는 1회 3루수 파울 플라이, 3회 3루수 땅볼, 5회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5회 타구는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펜스 앞까지 달려가 잡아내는 호수비가 아니었으면 장타가 됐을 타구였다. 2점 차로 뒤진 9회에는 선두 타자로 나가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됐다. 이날 범타로 물러난 네 타석에선 공이 모두 왼쪽으로 밀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15일 샌프란시스코와 원정경기에서 5회 이정후의 깊숙한 타구를 러닝 캐치로 잡아내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5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한 이정후는 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벌였지만 시즌 타율은 0.286로 약간 내려갔다. 2경기에서 5타점을 쓸어 담은 이정후의 타점은 29개로 늘어나 윌머 플로레스(33개)에 이어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전날 애리조나를 10-6으로 꺾고 4연패에서 탈출했던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3위 샌프란시스코는 이날 패배로 4위 애리조나에 2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9회 이정후가 아웃된 뒤 1사 만루 기회를 만들었다. 마이크 여스트렘스키의 삼진 후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 차까지 추격했으나 크리스천 코스가 중견수 뜬공으로 잡혀 역전에 실패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17일 애슬레틱스와 홈 3연전을 시작한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5 08:58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