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금융

속보

더보기

수은에도 내년 인사에 女風 불었다

기사입력 : 2013년12월31일 13:52

최종수정 : 2013년12월31일 13:52

조직예산팀장에 여성 최초 이현정 씨

[뉴스핌=노희준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수은) 내년 상반기 정기인사에 여풍이 불었다. 전체 책임자급 승진 대상자 26명 중 절반이 넘는 14명(54%)을 여성직원이 차지한 것이다.

수은 31일 이같은 2014년 상반기 정기인사를 내년 1월 2일자로 단행한다고 밝혔다.

특히 기관 전체의 예산과 부서간 업무조정 등을 책임지는 수은 핵심 직책인 조직예산팀장에는 이현정(43세, 여)씨가 여성 최초로 발탁됐다.

홍콩 현지법인 1명, 국제기구(OECD․ADB) 3명 등 여직원들의 해외진출도 두드러졌다.

김용환 수은 행장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여성 인력의 역할이 갈수록 강화될 것”이라며 “수은도 남녀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통해 여성 인력 활용과 조직 전체 발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입은행 2014년 상반기 정기인사

 ■ 부서장급

 ○ 승진

 전대금융실장 이태형(李泰炯)

글로벌협력부장정호섭(鄭鎬燮)

정보시스템부장허태영(許泰寧)

구미출장소장조양현(曺輰鉉)

동경사무소장이진균(李辰均)

인사부소속 부장(연수)손영환(孫永煥)

인사부소속 부장(연수)손영수(孫英洙)

인사부소속 부장(연수)박경순(朴敬淳)

 ○ 전보

 총괄사업부장김성택(金成澤)

금융자문부장문준식(文俊植)

정책금융지원센터장이진권(李眞權)

미래산업금융부장김경자(金景子)

발전산업금융부장김용몽(金容蒙)

석유산업금융부장양환준(梁桓準)

중소조선금융실장조영조(趙泳照)

해외투자금융부장김성철(金聖喆)

자원금융부장권우석(權祐奭)

무역금융부장김영수(金榮秀)

아시아부장오은상(吳銀相)

남북협력사업부장오명수(吳明洙)

남북인도협력실장장한섭(張漢燮)

해외경제연구소장임병갑(林秉甲)

국별조사실장김주영(金周永)

산업투자조사실장박동완(朴東完)

비서실장강승중(姜勝中)

인사부(운영지원팀장)김판수(金板洙)

신용평가실장박명하(朴明夏)

시스템개발실장윤길수(尹吉洙)

부산지점장조위택(趙韋澤)

대구지점장이내형(李來炯)

광주지점장임영준(任榮俊)

전주지점장전장수(全漳洙)

대전지점장김희원(金熙元)

수원지점장이한구(李漢九)

원주출장소장이병창(李柄昌)

수은영국은행 사장류순식(柳順植)

성동조선해양 경영관리단장이성준(李成埈)

대선조선 경영관리단장이호영(李虎榮)

 ■ 팀장급

 ○ 승진

 기획부 조직예산팀장이현정(李炫定)

기업구조개선실 기업구조개선팀장안상선(安相善)

경협지원실 사업지원팀장서정화(徐正和)

경협지원실 경협평가팀장위찬정(魏燦正)

청주지점 선임심사역(팀장급)안병호(安炳浩)

뉴욕사무소 선임조사역(팀장급)김상훈(金相勳)

수은인니금융 선임전문역(팀장급)황정욱(黃晸郁)

 ○ 전보

 기획부 대외업무팀장이동훈(李東勳)

금융자문부 금융자문3팀장정두화(鄭斗和)

석유산업금융부 석유산업1팀장박익환(朴益煥)

조선해양금융부 조선해양2팀장이종성(李鍾聖)

조선해양금융부 해운금융팀장정경석(鄭京錫)

해외투자금융부 투자사업금융팀장이재홍(李載鴻)

자원금융부 자원금융1팀장이도형(李道珩)

기업성장지원부 성장기획팀장김상만(金相滿)

무역금융부 무역금융팀장조장래(趙章來)

무역금융부 국제무역팀장이운창(李雲暢)

자금부 조달운용팀장박상우(朴相佑)

자금부 자금결제팀장이경호(李京湖)

국제금융부 외화운용팀장김정훈(金廷勳)

경협기획실 제도기획팀장최정훈(崔正勳)

아시아부 동남아팀장홍순영(洪淳榮)

아시아부 인니·대양주팀장우정현(禹正鉉)

중남미아프리카부 서남아팀장이태용(李泰鏞)

남북협력기획실 정책조사팀장정하경(鄭河璟)

남북협력사업부 경협금융팀장이영태(李永太)

인사부 인사팀장주상진(朱相振)

인사부 급여복지팀장김호준(金浩峻)

리스크관리부 신용리스크팀장이원형(李原亨)

리스크관리부 여신감리팀장이영섭(李映涉)

신용평가실 신용평가1팀장이형주(李炯周)

시스템개발실 개발운영2팀장유기열(柳基烈)

인천지점 부지점장정현수(鄭賢洙)

자카르타사무소장 엄성용(嚴聖鎔)

다레살람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김창석(金昌錫)

보고타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오정교(吳正敎)

이스탄불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정석찬(鄭錫燦)

마푸토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문재정(文渽晶)

아크라사무소개설준비위원장유정선(兪正善)

수은베트남리스금융회사 부사장이춘재(李春宰)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