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강필성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아세안 주요 기업인 500여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아세안 CEO 서밋’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한·아세안 주요 기업인들이 이처럼 모인 것은 2009년 제주에서 열린 ‘한-아세안 CEO 서밋’ 이후 5년 만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가 11일 한국과 아세안의 ‘대화관계’ 수립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공동 개최한 이번 행사는 ‘한-아세안의 새로운 도약, 혁신과 역동성’을 주제로 개최됐다.
행사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떼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모하마드 나집 말레이시아 총리 등 한국과 아세안의 정상들도 대거 참석했다.
아울러 한국측에서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권오준 포스코 회장,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송치호 LG상사 대표이사 등 350여명이 직접 참여했다. 아세안측에서는 토니 페르난데즈 에어아시아그룹 회장, 황 꾸억 부응 베트남전력공사 회장, 부이 응옥 바오 페트로리멕스 회장, 수판 몽콜수트리 태국산업연합회 회장 등 200여명이 방문했다.
3개 세션으로 진행된 이날 CEO 서밋에서 폴 로머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가 세계경제 전망과 아시아의 역할을, 김상헌 네이버 대표이사가 한국혁신기업의 교훈을, 토니 페르난데즈 에어아시아그룹 CEO가 아세안의 역동성과 기업가 정신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혁신기업의 성공사례와 교훈 등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박용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세계경제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후유증에 시달리면서 이른바 ‘ecular stagnation’에 빠져 있다”며 “세계경제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고 선순환을 이끌 성장엔진을 찾을 수 있을 지 전세계가 고민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아세안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도 매년 5~7%의 성장을 지속하면서 세계경제에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한국과 아세안 경제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찾는 것은 아시아는 물론이고 세계경제에 핵심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 혁신으로 재무장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과 역동적으로 도약하고 있는 아세안 기업들이 힘을 합친다면, 함께 성장하며 아시아와 세계경제의 도약에 기여할 수 있는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성장이론의 대가’로 널리 알려진 폴 로머 뉴욕대 교수는 “현대경제에서 경제적 가치가 가장 많이 생성되는 곳이 도시”라며 “성장을 위해서는 효율적 도시개발 정책을 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먼저 세계경제에 대해 “유럽의 수출수요는 러시아와의 갈등 및 유가하락 등으로 인해 떨어질 것이고, 개발도상국은 미국 테이퍼링 등의 영향으로 확대통화 등의 정책을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며, 중국은 인프라개발과 도시화 정책 등으로 지속적인 확대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폴 로머 교수는 또 “개발도상국은 경제구조 개혁을 통해 도시화를 가속시켜야 선진국을 ‘캐치업’하는 성장이 가능하다”며 “정부 정책도 산업화가 아닌 도시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상헌 대표이사는 네이버의 혁신사례를 소개하며 자유경쟁을 통한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해야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상헌 대표는 “한국에서 혁신적인 IT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는 배경은 정부의 ICT전략과 벤처기업 붐, 잘 정비된 인터넷 사용 환경 때문”이라며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창조경제 역시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CNN이 한국이 세계에서 제일 잘하는 10가지로 꼽은 것 중 ‘소개팅문화’와 ‘여성 골퍼’가 있는데, 이런 문화가 IT기술과 결합돼 소개팅 앱과 스크린골프라는 시장을 만들어 냈다”며 “혁신적 서비스는 지역 고유의 환경에서 나오는 필요성이 기술역량과 결합해 보편성을 지닐 때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헌 대표는 끝으로 “혁신적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정부는 최적의 규제 환경 조성, 인프라 확충 및 인재 양성에 힘쓰는 한편 공정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심판의 역할을 해야 한다”며 “민간에서는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끊임없이 혁신을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니 페르난데즈 에어아시아그룹 회장은 자사의 성장 요인을 ‘혁신적 인사제도와 신규노선 개발’ 등 진취적인 기업가정신에서 찾았다.
토니 회장은 “2001년 2대의 비행기로 시작해 2013년 현재 150대의 비행기를 보유, 탑승객 기준 아시아에서 다섯 번째로 큰 항공사로 성장했다”며 성장비결로 ‘파격적 인사제도’, ‘적극적 브랜드마케팅’, ‘IT기술 활용’, ‘혁신적 노선 개발’, ‘원스톱서비스 시행’을 꼽았다.
토니 회장은 먼저 “활주로 요원을 IT팀장으로, 콜센터직원을 파일럿으로 전환배치하는 등 직원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열린 인사제도’를 운용하고 있다”며 “아시아지역 항공사 중 여성파일럿의 비율이 높다는 점도 혁신적 인사의 단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스포츠팀 스폰서 계약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 기존에 없던 신규노선 개발, 여행사·엔터테인먼트사 등과의 협력을 통한 원스톱서비스 제공 등 진취적인 기업가정신으로 회사를 알리고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강필성 기자 (feel@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