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변경에 따른 세부 대비 방안 마련
[뉴스핌=이지현 기자] 새로운 보험계약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한 민관 합동 도입준비위원회가 발족했다. IFRS17은 보험부채를 계약시점의 원가가 아닌 결산시점의 시가(공정가치)로 평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회계 기준이다.
8일 금융위원회는 보험권 국제회계기준 도입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킥오프(Kick-off)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IFRS17 최종 기준서가 오는 5월 확정·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함께 연착륙 방안 마련에 나선 것. 도입준비위원회에서 IFRS17 도입준비방안을 논의하고, 시장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 |
8일 금융위원회는 보험권 국제회계기준 도입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킥오프(Kick-off)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이지현 기자> |
도입 준비위원회는 3인의 공동위원장(김학균 금융위 상임위원·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장남식 손해보험협회장)과 5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38인의 보험사 CEO로 구성된 업계 자문단과 학계 중심의 전문가 자문단도 위원회와 제도개선 방향을 심의한다.
또 38개 보험사의 경영위험전문관리임원(CRO)들이 3개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제도개선 방안을 실무적으로 검토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한다. 금융위와 금감원으로 구성된 실무 지원단은 실무 작업반에서 검토한 주요 사항들을 도입준비위원회에 부의하고, 관련법규 제·개정 등 후속조치 추진을 총괄할 예정이다.
이날 킥오프 회의에서는 IFRS17의 긍정적 측면에 대해 공유하고, 보험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당국과 보험업계가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또 이날 회의를 계기로 사전 검토를 시작해 오는 5월 IFRS 최종기준서가 확정·발표되면 세부 방안을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다.
회의에 참석한 김학균 상임위원은 "IFRS17이 도입되면 보험산업의 패러다임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도 "다만 회계기준이 전면적으로 변경되는 만큼 보험업계 충격도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국 차원에서도 책임준비금 적정성 평가(LAT)등을 활용해 보험회사가 단계적으로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새로운 회계기준에 맞춰 전면개편해야 하는 건전성 감독제도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상임위원은 "향후 도입준비위원회는 업계 의견을 충분히 듣는 방향으로 운영할 예정"이라며 "감독제도 또한 도입준비위원회에서 충분히 논의해 보험사가 예측 가능한 상태에서 차질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IFRS17 시행까지 남은 3.5년은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면 충분한 기간이 될 수 있다"며 "보험업계도 이익 유보 등 자본 확충 노력, 리스크 관리 강화, 회계 시스템 구축 등 회사 차원의 준비에 박차를 가해달라"고 당부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