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대외건전성 양호해 신흥국 위기 전이될 가능성 낮아
한미 금리역전에 자본유출 가능성은 제한...경제 펀더멘털 우수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아르헨티나·터키 등 일부 신흥국 위기로 인해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다만 국내 대외건전성이 양호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판단했다.
![]() |
차기 한은 총재로 내정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 기자실에서 소감을 밝히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4일 금통위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 열고 최근 국내외 경제동향과 향후 통화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1.50%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 "대외 불확실성 높아진 건 사실...국내 영향은 제한적"
이 총재는 "일부 신흥국,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통화가치 급락과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들 신흥국 불안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다만 신흥국 불안이 국내에 미칠 영향도 제한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 총재는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국가들을 살펴보면 기초경제가 허약하고, 정치가 불안한 국가들이 대부분"이라며 "여타 신흥국으로 확대될 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겠지만 일반적인 평가는 신흥국 전반으로 확산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외건전성이 상당히 양호하고, 큰 폭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중"이라면서 "또 상당액의 외환보유액도 갖추고 있고, 대외채무 구성으로도 단기외채 비중이 낮아 일부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국내에 미칠 영향은 제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대외 불확성이 높아졌다는 것은 이들 사안에 각별히 유의해야겠다는 의미라면서 지난 4월 성장률 전망은 유지중이라는 설명을 곁들였다.
◆ 한미 금리역전에도 자본유출 가능성 제한
한미 금리역전폭 심화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 2006년도에도 한미 금리역전폭이 컷지만, 그 당시 국내는 경기상승, 수출증가 등 경제여건이 양호해 자금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자본 주식과 관련해 대외금리차도 고려요인이지만 훨씬 더 큰 고려요인은 경제펀더멘털"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최근 자본유출이 일어나는 국가들의 정책 금리가 상당히 높다는 점을 해당 근거로 제시했다.
최근 정부가 외횐시장 개입내역을 공개하기로 한 것에 일부 시장의 우려에 대해선 일축했다.
이 총재는 "외환시장 개입내역을 공개해도 필요한 경우에 의해서는 시장안정화 조치를 계속해 나갈 것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을 것"이라며 "또 한국의 대외경제여건이나 경제규모를 볼 때 환투기 세력이 악용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내다봤다.
최근 큰 폭으로 오른 국제유가가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도 제한될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유가상승이 물가를 높이고, 실물경제와 관련해선 시차를 두고 영향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현재 유가는 70달러대로 상승세가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물가상승률은 1% 중후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을 물가급등으로 볼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