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운영 5개년 계획'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
8일 출발 인도·싱가포르 순방서 본격 가동
인도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추진
아세안 협력, 주변 4강국과 유사한 수준 강화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인도와 싱가포르를 차례로 방문, '신(新)남방정책'을 본격화한다. 인도와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추진하고, 싱가포르를 비롯한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의 관계는 미·중·일·러 4강국 수준으로 강화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동남아시아 순방 성과에 대해 얘기했다. <사진=청와대> |
5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오는 8일부터 13일까지 5박 6일 일정으로 인도와 싱가포르를 국빈 방문한다.
인도 방문은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서남아 방문이고, 싱가포르 방문은 15년 만에 이뤄지는 양자 국빈 방문이다.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관련 브리핑에서 "인도·싱가포르 국빈 방문은 정상 간 우의 신뢰를 돈독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와 인도, 싱가포르가 지닌 상호 보완적이고 호혜적인 협력 구조를 최대한 활용해 미래지향·전략적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도·싱가포르 순방에서 신남방정책을 본격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인도와 싱가포르는 문 대통령이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 파트너 국가다.
앞서 문재인정부는 지난 7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신남방정책 추진'을 천명했다.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동북아를 넘는 적극적인 평화협력 외교가 절실하다는 이유에서다.
신남방정책은 인도,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생존 및 번영에 우호적인 평화·협력적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전략 중 하나다.
인도와는 전략적 공조 강화 및 실질 경제 협력 확대를 통해 '특별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만들어 나가고, 아세안과는 수요에 기반한 실질 협력을 미국·중국·일본·러시아 주변 4강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강화한다는 게 핵심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8일부터 시작된 동남아시아 순방에서 '신남방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당시 순방에서 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베트남, 필리핀을 각각 방문, 한국과 아세안과의 관계 발전에 힘을 쏟았다.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인도 국빈 방문은 인도와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미래지향적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단단히 하기 위한 것이다. 지정학·전략적 중요도 높아지는 남아시아 지역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 교두보를 강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 보좌관은 이어 "싱가포르 국빈 방문은 첨단산업 선진국인 싱가포르의 4차산업 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성장동력을 창출코자 함이다"면서 "한국과 아세안 간 미래 발전, 모범적 사례를 함께 발굴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