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2017 중견기업 가업승계 실태조사 발간
[서울=뉴스핌] 오찬미 기자 = 중견기업계가 과도한 상속 및 증여세 부담이 중견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잠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9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명문장수기업센터가 발간한 ‘2017 중견기업 가업승계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절반에 가까운 중견기업인 47.2%가 기업승계를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과도한 상속 및 증여세 부담을 꼽았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가업상속공제 제도(31.2%)와 후계자 역량 부족(19.2%)도 가업승계의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125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중견기업 관계자는 "우리나라 상속세 최고세율은 50%"라며 "최대주주 할증률까지 더하면 최대 65%다. 가업상속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기업승계 이후 10년간 업종 및 정규직 근로자 80% 이상, 상속지분 100%를 유지해야 하는 것도 어려움"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이러한 환경에서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사업재편, 신사업 진출이 어렵다"며 “히든챔피언과 명문장수기업 강국으로 꼽히는 독일과 일본처럼 사후관리기간을 5년 또는 7년으로 단축하고 업종전환과 자산처분 규제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
가업상속공제 제도 개선(33.6%)과 명문장수기업확인제도 세제혜택 부여(30.4%), 기업승계 부정적 인식 개선 캠페인(28.0%), 공익법인·차등의결권 등 기업승계 방안 추가 개발(20.8%)이 원활한 기업승계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수단으로 꼽혔다.
정부, 유관기관 등에 바라는 기업승계 지원 사업으로는 법률·조세·회계·경영 컨설팅 지원(48%)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업승계·신사업/M&A·명문장수기업 등 통합 컨설팅(33.6%), 기업승계에 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을 위한 세미나·포럼 개최(24.0%), 후계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커뮤니티 구성(20.0%)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 세 곳 중 한 곳은 십수년 내 기업 승계 절차를 밟아야 하는 상황이다. 37.6%의 중견기업에서 여전히 고령의 창업주가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견기업들이 기업승계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다. 기업승계 원칙, 기준,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을 문서화한 곳은 12.8%에 불과했고 87.2%는 아직 제대로 된 정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김규태 중견련 전무는 “일부 편법 승계와 준비되지 못한 후계자들의 일탈은 기업들이 자성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라면서도 "이로 인해 기업승계를 부의 대물림으로 질시하는 타성적 인식이 강화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승계에 대한 합리적 인식을 확산하고 가업상속제도, 명문장수기업 확인제도 개선과 중견기업 후계자 역량 강화 교육 등 중견기업의 원활한 기업승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ohnew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