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지 업계 시장 점유율 약 80%
미국 증시 IPO, 40억달러 조달 추진
YG, 로엔, 큐브와도 협력 강화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12일 오후 5시3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황세원 기자=최근 중국 IT 공룡 텐센트는 온라인 음원 사업부인 텐센트뮤직(騰訊音樂)을 미국 증시에 상장하겠다고 밝혔다. 텐센트뮤직이 미국 증시에 성공적으로 상장하면 중국 최초의 온라인 음원 서비스 상장사가 된다.
하반기 상장이 유력시되는 텐센트뮤직의 IPO 예상 조달액은 30억~40억 달러로,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약 33조9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텐센트뮤직의 최대 경쟁사인 왕이윈뮤직(网易云音乐)의 모회사이자 텐센트의 라이벌이기도 한 왕이(网易, 넷이즈)와 비슷한 수준으로 향후 업계 경쟁은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최근 데이터 기준, 왕이의 시가총액은 350억 달러 수준이다.
◆ 업계 선점 우위·탄탄한 실적 기반 승승장구
텐센트뮤직의 강점으로는 시장 선점 우위와 탄탄한 실적이 꼽힌다.
중국 음원 시장은 텐센트 계열을 비롯해 알리바바(阿里巴巴), 왕이(网易, 넷이즈)가 삼 등분 하고 있다. 텐센트 계열로는 중국 1, 2위 음원사이트 QQ뮤직(QQ音乐), 쿠거우뮤직(酷狗音乐)와 쿠워뮤직(酷我音乐)이 있으며 알리바바 계열에는 샤미뮤직(虾米音乐), 톈톈둥팅(天天动听) 등이 있다. 넷이즈는 왕이윈뮤직(网易云音乐)을 산하에 두고 있다.
![]() |
‘삼파전’이라고는 하나 텐센트뮤직의 우위가 압도적이다. 중국 유력 데이터 플랫폼 DCCI가 발표한 ‘중국디지털음원플랫폼 가치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텐센트뮤직의 쿠거우뮤직과 QQ뮤직 침투율은 5월 기준 각각 32.7%, 25.6%를 기록했다. 반면 3위 왕이윈뮤직의 침투율은 10.4%에 그쳤다. 텐센트뮤직의 이용자 수는 6억3000여 명으로 시장점유율은 78%에 달한다.
양호한 실적 성장세도 투자자 눈길을 사로잡는다. 지난해 텐센트뮤직의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3.3% 증가한 18억8000만 위안(약 316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텐센트뮤직 예상 순이익은 36억5000만 위안(약 6100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4%가 성장할 전망이다.
![]() |
◆ 저작권 우위· 글로벌 영업확대, 잠재력 무궁무진
텐센트뮤직의 진정한 저력은 저작권 확보 우위에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불법 음원 퇴치 움직임이 고조됐다.
2015년 7월 중국 국가저작권국은 ‘인터넷 뮤직 서비스업체 불법 음원 서비스 제공 금지 관련 통지’를 발표하고 정품 디지털 음악 서비스 발전을 촉구했다. 이후 플랫폼 간 음원 저작권 투자 경쟁이 격화됐고, 저작권 독과점 등 문제가 제기되자 당국의 압박 하에 QQ뮤직, 왕이윈뮤직, 알리뮤직 등 주요 플랫폼이 저작권 위임 협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텐센트뮤직은 시장 파이를 뺏기기는 커녕 오히려 현지 음원 저작권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유지하며 업계 승자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유력 매체 제몐(界面)에 따르면 텐센트뮤직은 세계 3대 음반사인 유니버설뮤직, 워너뮤직, 소니뮤직의 음원 저작권을 확보했으며, YG, 로엔, 큐브 등 국내 유명 엔터사 음원 저작권도 확보했다. 텐센트뮤직의 대표 플랫폼인 QQ뮤직은 업계 최대 규모인 총 1700만여 곡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200여 곳이 넘는 음반 제작사와 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텐센트뮤직은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기업인 스포티파이와 지분 교환 협상 방식 통한 협력 관계 구축에 합의했다. 전 세계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스포티파이는 당초 텐센트뮤직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이후 텐센트뮤직과 중국 음원 시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며 협력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지 업계에서는 스포티파이와의 협력으로 텐센트뮤직이 단순 기업 가치 상승 외에도 수익 모델 개선 등 시너지 효과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스포티파이는 1억4000만 명의 회원 중 6000만명이 유료 회원일 정도로 유료화 모델이 잘 도입돼 있다. 반면 텐센트뮤직의 유료 이용자 전환률은 2.8% 로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다.
![]() |
mshwangs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