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상반기 간편결제·송금 이용액, 각각 107%·230%↑
"소수 핀테크 업체가 종합 금융플랫폼으로 도약"
[서울=뉴스핌] 장봄이 기자= 금융위원회가 올해 3대 업무 추진 목표 중에 하나로 혁신금융을 꼽은 가운데, 금융회사는 디지털 시대에 차별화된 대응 역량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 |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혁신 금융의 일환으로 최근 지급결제 관련 핀테크 산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면서 "작년 상반기 간편결제와 간편송금 이용금액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07%, 230%씩 증가했다"고 말했다.
핀테크 위주로 재편성되는 지급결제 시장 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새로운 지급결제업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백 연구원은 "오픈뱅킹 플랫폼이 구축돼 금융 결제망이 개방된다"면서 "하나의 앱으로 모든 은행계좌를 통합관리하고(마이데이터), 결제 자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모든 계좌의 결제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게 될 것(마이페이먼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존 '은행계좌-은행·카드-소비자' 지급결제 시스템이 '은행계좌-핀테크-소비자' 구조도 포용할 수 있게 됐다"며 "궁극적으로 소수 핀테크 업체가 빅데이터와 지급결제 부문에서의 입지를 확보하며 종합 금융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기관은 독점적 금융데이터 보유·활용 및 고객 락인 효과가 위협받을 수 있어 대응 역량이 중요하다. 뛰어난 디지털·자산관리 역량, 다변화된 비은행 포트폴리오, 글로벌 사업부문을 가진 신한지주를 주목한다"고 덧붙였다.
bom22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