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진 교수, 최고 연구상 '연구대상' 수상
[대전=뉴스핌] 최태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은 오는 23일 오전 10시부터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E9) 5층 정근모 콘퍼런스홀에서 ‘2019 KAIST 리서치데이(Research Day)’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행사는 2016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교내 연구자들의 축제다. 주요 연구성과 소개를 통해 연구개발(R&D) 분야의 정보교류 기회를 제공하고, 상호 협력·소통하는 연구 문화 조성으로 연구자들의 응집력을 높여 융합연구를 활성화한다는 취지로 올해 4년째 열리고 있다.
카이스트는 올해 연구부문 우수교원과 대표 연구성과 10선을 뽑아 포상한다.
![]() |
카이스트 '연구대상' 수상자로 선정된 조병진 교수 [사진=카이스트] |
최고 연구상인 ‘연구대상’ 수상자로 조병진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가 선정됐다. 조 교수는 ‘반도체 소자와 에너지 소자 분야에서의 한계 돌파’를 주제로 강연을 한다.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 및 플렉시블(flexible, 유연한) 에너지 소자 분야에서 독창적 성과를 인정받는 연구자다.
조 교수는 반도체 소자 기술 분야에서 240편 이상의 저널 논문과 300편 이상의 학회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또 50건 이상의 특허를 취득했다. 지난 2015년 프랑스의 기술평가기관 넷엑스플로(Netexplo)에서 주관하는 IT 분야 신기술 어워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바 있다.
이 밖에 박용근 교수(물리학과)와 박인철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가 각각 ‘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노베이션상’ 수상자로 김문철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가 뽑혔다.
최성율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임성갑 교수(생명화학공학과), 박상희 교수(신소재공학과) 3명은 한팀으로 융합 연구상을 받는다.
수상자는 행사 기간 내 강연을 통해 연구에 대한 열정과 경험을 학부생과 석·박사 과정 학생, 동료 연구자들에게 전할 예정이다.
KAIST를 대표하는 R&D 연구성과 10선에는 △리드버그원자 양자컴퓨터(안재욱 교수·심흥선 교수(이상 물리학과) 공동수상) △상온의 탄소-수소 결합 촉매 반응(백무현 교수·화학과) △DNA 사이 막대 모양 이온의 역할 규명(김용운 교수·나노과학기술대학원) △자원 탐색 및 획득 조절 신경회로(김대수 교수·생명과학과) △뇌종양의 원인 규명과 새로운 치료법 (이정호 교수·의과학대학원) 등이 자연과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공간 경계를 이용한 빛의 선형 주파수 변환 기술(민범기 교수·기계공학과) △투명 유연 포스 터치 센서(윤준보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반도체 웨이퍼 내 결함 패턴 탐지(김희영 교수·산업및시스템공학과) △스핀 기반 로직 소자(박병국 교수·신소재공학과) △탄소 나노튜브 기반의 근접 암 치료 장비(조성오 교수·원자력및양자공학과) 등이 선정됐다.
cty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