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기자, 형사가 그리는 픽션과 논픽션
6월 30일까지 대학로 TOM 1관에서 공연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스릴러가 아니라 휴먼 드라마였다. '소설 속 살인마가 현실에 나타났다'는 설정에 조금 속은 듯도 하지만, 배우들의 열연과 극 전반을 지배하는 따뜻한 감성이 모든 것을 잊게 만든다.
뮤지컬 '더 픽션' 공연 장면 [사진=HJ컬쳐] |
뮤지컬 '더 픽션'(연출 윤상원)은 1932년 뉴욕을 배경으로 연재소설 작가 그레이와 신문사 기자 와이트, 형사 휴의 이야기를 전하는 3인극이다. 2016년 창작지원 프로젝트 '데뷔를 대비하라', 2017년 DIMF(대구 국제뮤지컬페스티벌) 창작지원작, 2018년 KT&G상상마당 '상상 스테이지 챌린지' 선정작을 거치며 거듭 업그레이드 됐다.
범죄와 연쇄살인, 형사와 기자, 피가 흩뿌려지는 무대를 상상했다면, 예상과는 완벽히 다른 무대가 펼쳐진다. 지난 공연보다 훨씬 스릴러적 요소가 줄고 인물들의 관계에 대한 설득력은 높이면서 휴머니즘을 강조했다. 넘버를 추가하면서 인물의 서사가 명료해져 스토리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특히 서정적인 넘버가 극 전반을 지배하면서 따스한 분위기가 관객을 사로잡는다.
뮤지컬 '더 픽션' 공연 장면 [사진=HJ컬쳐] |
와이트는 그레이를 찾아가 10년 전 발매된 <그림자 없는 남자>를 신문에 연재하자고 제안한다. 범죄자를 죽이는 살인마 '블랙'을 주인공으로 한 내용으로, 신문에 연재되면서 인기를 끌고 동시에 현실에서 연쇄살인이 시작된다. 소설의 마지막 작가의 죽음처럼 그레이가 자살을 하고, 형사는 그의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 생각하며 와이트를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소설의 인기가 올라갈 수록 그레이는 죄책감 혹은 책임감으로 고뇌하게 된다. '범죄자는 처벌해도 괜찮은가?'란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블랙'이란 존재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이는 그레이와 와이트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거짓과 진실, 선과 악, 픽션과 논픽션에 관한 논쟁이 펼쳐진다. 이들을 지켜보는 관객들 또한 함께 질문하고 돌아보고 스스로 성찰하게 만든다.
공연은 플래시백 기법으로 현재와 과거를 자주 오간다. 희미하게 숫자가 그려진 무대는 시간을 이동할 때마다 회전하며 시점의 변경을 알려준다. 배우들은 단 몇 초만에 목소리와 표정을 바꾸고, 감정까지 완벽하게 콘트롤해 긴장감과 몰입도를 높인다. 그레이 역 박유덕의 자연스러운 연기는 물론, 와이트 역의 박정원은 감정 기복이 많고 어려운 캐릭터임에도 훌륭히 소화한다. 휴 역의 박건 또한 안정적이다.
뮤지컬 '더 픽션' 공연 장면 [사진=HJ컬쳐] |
"현실의 삶이란 때때로 한편의 소설보다 소설 같으며, 한 사람은 하나의 이야기로 남는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누군가에게 한 편의 이야기로 남길 원한다."
공연이 끝나면 먹먹하다. 우리는 현실에서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어떤 이야기로 기억되길 원할까. 뮤지컬 '더 픽션'은 오는 6월30일까지 대학로 TOM 1관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