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가요

속보

더보기

샤이니 등 '선배돌' 컴백에 신예 아이돌 데뷔까지…음원 경쟁 치열

기사입력 : 2021년02월25일 17:03

최종수정 : 2021년02월25일 17:03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설 수 있는 무대는 줄었지만 가요계에 컴백과 데뷔가 물 밀듯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달에는 데뷔하는 그룹들과 더불어 샤이니, 선미 등 내로라하는 아이돌이 모두 컴백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 샤이니·선미·치타까지…아이돌 vs 솔로의 대결

이번 달에는 선 굵은 아이돌과 솔로 가수들이 모두 컴백하면서 음원 경쟁을 하고 있다. 이달 컴백 주자 중 가장 많은 기대를 받은 그룹은 샤이니다. 멤버들의 군대 공백기가 끝난 후 2년 6개월만에 완전체로 뭉친 샤이니는 지난 22일 정규 7집 '돈트 콜 미(Don't Call Me)'를 발매하며 컴백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그룹 샤이니 [사진=SM엔터테인먼트] 2021.02.22 alice09@newspim.com

이는 2018년 9월 정규 6집 이후 선보이는 신보인 만큼, 앨범에는 다채로운 장르 9곡이 수록됐다. 이전 앨범은 샤이니의 밝은 모습을 담아냈다면, 이번에는 '흑화'된 모습으로 차별점을 꾀했다. 앨범 동명 타이틀곡은 틀에 갇힌 시선으로 샤이니를 정의하지 말라는 경고의 의미를 담음과 동시에 사랑에 철저히 배신 당해 상처 받은 모습을 직설적으로 풀어냈다.

샤이니는 컴백과 동시에 글로벌 차트 1위를 휩쓸며 건재함을 드러냈다. 이번 앨범은 신나라레코드, 예스24, 교보문고 등 국내 음반 차트 일간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 QQ뮤직, 쿠워뮤직 디지털 앨범 판매 차트, 일본 라인 뮤직 앨범 톱 100 차트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타이틀곡 역시 공개 직후 벅스, 지니, 바이브 등 주요 음원 차트 실시간 1위와 더불어 수록곡 줄세우기를 기록하며 차트 상위권에 모두 랭크돼 인기를 입증해냈다.

2007년 원더걸스로 데뷔해 이제는 '여자 솔로가수'로 인정을 받은 선미도 지난 23일 새 디지털 싱글 '꼬리(TAIL)'로 화려하게 컴백했다. 디지털싱글에는 타이틀곡과 더불어 '꽃같네(What The Flower)' 두 곡이 수록되었으며, 장르가 다른 두 곡을 통해 선미의 다채로움을 드러냈다.

선미는 '가시나' '날라리(LALALAY)''보랏빛 밤(pporappippam)' 등을 통해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인 만큼, 이번에도 과감한 퍼포먼스를 자랑했다. '꼬리'의 안무는 비욘세와 제니퍼 로페즈의 댄서이자 안무가로 활동하는 자넬 기네스트라의 작품으로 고양이를 연상시키는 과감하고 디테일한 동작들로 색다른 신선함을 더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래퍼 치타(왼쪽)와 선미 [사진=크다엔터테인먼트, 어비스컴퍼니] 2021.02.25 alice09@newspim.com

과감한 변신을 꾀한 만큼, 음원차트도 재빠르게 바뀌었다. 선미의 '꼬리'는 23일 발매와 동시에 벅스 1위(23일 오후 8시 기준), 지니 2위, 멜론 최신 24Hits 진입을 기록했다. 뮤직비디오는 영화 캣우먼'을 오마주한 만큼 조회수 역시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여자 솔로가수 중 '센언니'로 불리는 래퍼 치타도 오는 26일 컴백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 8월 발매한 '개 Sorry' 이후 6개월 만에 새 디지털 싱글 '빌런(Villain)'으로 컴백하는 치타는 이전 앨범 만큼이나 강렬한 콘셉트를 예고해 벌써부터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 픽시·킹덤·트라이비…신예들의 화려한 데뷔

아이돌과 솔로 가수들의 경쟁 사이 신예들이 가요계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먼저 평균 연습 기간만 4년이 넘는 6인조 그룹 픽시는 지난 24일 데뷔 싱글 '페어리 포레스트. 위드 마이 윙스('Fairy forest Chapter01. With my wings)'로 화려하게 데뷔했다.

타이틀곡 '날개(WINGS)'는 웅장한 트랩 비트와 오묘한 리드 신스가 돋보이는 힙합 장르의 곡으로 수많은 시련을 서로에게 의지해 이겨내며 나아가겠다는 픽시의 각오를 고스란히 담았다. 걸그룹이 청순한 분위기를 주로 선보였다면, 픽시는 선과 악이라는 유니크한 콘셉트로 활동을 예고하며 차별점을 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2월 데뷔한 걸그룹 픽시 [사진=올라트엔터테인먼트, 해피트라이브엔터테인먼트] 2021.02.25 alice09@newspim.com

특히 앨범명과 타이틀곡에서 볼 수 있듯 '날개'는 그룹에서는 빠져서는 안 될 세계관과 연관돼 있다. 픽시는 요정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신비로운 판타지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픽시뿐 아니라 지난 18일 데뷔한 그룹 킹덤 역시 남다른 세계관을 자랑한다. 이들은 첫 미니앨범 '히스토리 오브 킹덤:파트1. 아서(History Of Kingdom : PartⅠ. Arthur)' 발매에 앞서 타이틀곡 '엑스칼리버(EXCALIBUR)' 뮤직비디오를 선공개하는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타이틀곡의 뮤직비디오는 첫 미니앨범 시리즈 첫 주자인 아서의 스토리와 함께 킹덤 세계관의 두 번째 주자로 추정되는 치우의 쿠키영상이 담겼다. 아서를 시작으로 단, 무진, 루이, 아이반, 자한, 치우로 이어지는 멤버들의 등장도 흥미로웠다. 같은 듯하면서도 다른 느낌의 의상과 아우라가 4분이 넘는 러닝타임 동안 눈과 귀를 단숨에 사로잡았다.

화려한 영상미와 앨범 발매 전 타이틀곡 뮤직비디오 선공개라는 프로모션 덕분에 '엑스칼리버' 뮤직비디오는 공개 일주일 만에 조회수 100만뷰를 돌파(25일 오후 4시 기준)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 지니뮤직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 뮤직비디오 조회수(27만뷰)를 합산하면 130만뷰를 넘어 신인 그룹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2월 데뷔한 그룹 킹덤 [사진=GF엔터테인먼트] 2021.02.25 alice09@newspim.com

킹덤은 데뷔와 동시에 미국 아이튠즈 톱 K팝 앨범 차트 3위에 올랐다. 또 타이틀곡 '엑스칼리버'는 아이튠즈 톱 K팝 송 차트에서 13위를 기록했으며, 미국·영국 아이튠즈 팝 앨범 차트에도 '히스토리 오브 킹덤 : 파트1. 아서'가 진입하며 무서운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유명 작곡가 신사동호랭이와 세계 최대 음반사 유니버설뮤직이 참여한 걸그룹 트라이비도 지난 17일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며 데뷔했다. 평균연령 17세의 7인조 걸그룹인 트라이비는 데뷔 싱글 '트라이비 다 로카(TRI.BE Da Loca)'를 통해 '남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고 당당한 나를 찾아가겠다'라는 당찬 포부를 담아냈다.

이처럼 2월에는 선굵은 아이돌부터 신예들이 대거 컴백하면서 뜻하지 않은 음원차트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한 가요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음악방송 외 설 수 있는 무대는 적어졌지만, 신규 확진자 수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반기부터 공연 가능성에 대한 기대들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인들의 경우 하반기 공연을 하려면 상반기 데뷔 후 잦은 컴백을 하면서 공연을 할 수 있는 곡들과 무대 경험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그룹들이 힘든 시기에도 데뷔를 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