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이준익 감독과 배우 설경구, 변요한이 만난 '자산어보'가 동생 정약용보다 더 급진적이고 자유로웠던 지식인 정약전의 인생과 사상을 스크린에 펼쳐낸다.
영화 '자산어보'가 18일 언론배급시사회를 통해 공개됐다. 처음부터 끝까지 흑백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시대를 앞서간 정약전, 정약용, 정약종 삼형제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준익 감독은 그 중에서도 정약전을 중심으로, 그가 흑산도로 유배를 떠나 집필한 '자산어보'를 둘러싼 이야기를 구성했다. 시대를 앞서간 학자와 출신을 뛰어넘은 능력을 지닌 필부의 인연이 별 자극없이 묵묵히 스크린에 그려진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2021.03.19 jyyang@newspim.com |
◆ 흑백화면이 주는 단정한 단조로움…설경구·변요한, 생동감 불어넣어
'자산어보'는 조선 후기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을 집필한 실학자 정약용의 형, 정약전(설경구)의 삶을 들여다본다. 그는 막내동생 정약종을 잃고, "동생보다 더한 놈"이라는 평가 속에 흑산도로 유배를 떠나게 되고 '사학쟁이'라는 멸칭을 얻게 된다. 흑산도에서 만난 창대(변요한)는 양반 아버지의 피를 받아 뛰어난 머리를 타고났지만 미천한 출신이라 출세는 요원하다. 정약전은 그의 뛰어난 바다, 어류 지식과 자신의 재능을 주고받으며 '자산어보'를 완성해나간다.
설경구는 정약전을 통해 시대를 앞서간, 신념이 굳은 인물을 연기했다. 동생인 정약용이 '목민심서'로 임금을 잘 섬기면서 백성을 이롭게 할 궁리를 하는 동안 그는 임금조차 부정하는 실용적인 태도로 학문을 탐구한다. 진지하면서도 호기심이 넘치는 정약전의 표정과 행동, 캐릭터는 설경구의 세심한 묘사로 흑백 화면 안에서도 생동한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2021.03.19 jyyang@newspim.com |
변요한은 창대 역을 맡아 양반 출신 아버지와 평민 어머니 사이 태어난 비운의 어부를 그려냈다. 뛰어난 머리와 달리 출세에 한계가 있는 몸. 마음 속에 끓어오르는 설움과 욕망은 고스란히 그의 표정을 통해 객석에 전달된다. 정약전에게 점차 마음이 커져가는 가거댁(이정은) 역시 탁월한 앙상블로 시대와 이야기 속 함께 어우러진다.
◆ 부조리의 본질 꿰뚫은 정약전의 사상…'백성을 향한 큰 뜻' 새롭게 조명
정약전은 스스로를 "서양의 기하학을 성리학적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하고 창대에게 "과연 무엇이 성리학이냐"고 여러 차례 묻는다. 모든 사물에 호기심이 가득한 그는 정약용의 실학 사상을 뛰어넘어, 물고기와 바다생물을 직접 보고 만져보고 탐구하며 말 그대로 '실사구시'의 태도를 보여준다. 극 초반 "정약용보다 더 위험한 인물"이라는 고관들의 평가는 동생과 달리 '목민심서'를 집필할 수 없는 그의 성향을 일찌감치 증명해준 셈이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2021.03.19 jyyang@newspim.com |
사학쟁이라며 정약전을 배척하던 창대는 그를 통해 진짜 성리학을 탐구하고 실천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 알아가는 여정을 거쳐간다. 결국 정약전의 사상에 반기를 들며 떠난 그는 책 속의 깊은 뜻과 현실의 괴리감에 몸부림친다. 그 시대의 문제와 부조리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창대는 감독의 문제의식을 고스란히 담은 인물이다.
'목민심서'가 아니라 '자산어보'를 집필한 정약전의 큰 뜻을 관객은 창대와 함께 알아나간다. 이준익 감독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백성을 위한 뜻'을 펼쳐낸 정약전의 업적을 영화에 고스란히 담아냈다. 당장 실제의 삶에 가장 도움이 될 만한 실용서를 집필한 정약전의 애민정신은 어느 때보다 바로 지금, 가장 가치있게 빛난다. 오는 31일 개봉.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