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중공업

속보

더보기

'방산 호조' 한화시스템, 3분기 만에 전년 영업익 총액 넘어

기사입력 : 2021년10월28일 13:23

최종수정 : 2021년10월28일 13:23

3Q 매출액 5574억원…전년比 46.8%↑
시장전망치 상회…방산 부문 매출 증가

[서울=뉴스핌] 박지혜 기자 = 한화시스템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이 이미 전년 영업이익 총액을 넘어섰다.

방산 부문이 대형사업으로 인해 매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한화시스템은 4분기에도 방산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내년에 신사업 관련 손실 규모는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봤다. 

한화그룹 전경. [사진=한화]

◆ 방산 부문 대형사업 실적 견인

한화시스템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5574억원, 영업이익 426억원, 당기순이익은 312억원을 달성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46.8%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4.7%, 당기순이익은 0.5% 감소했다.

이는 시장전망치(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이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화시스템은 올해 3분기 매출 4584억원, 영업이익 255억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보다 각각 21.6%, 67.1%를 상회했다.

사업별로 보면 방산 부문이 매출액 4016억원, 영업이익 339억원으로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2724억원)보다 47.4%,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316억원)보다 7.3% 증가했다. 개발 사업과 양산 사업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도 크게 늘었다.

방산 부문은 대형사업이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피아식별장치(IFF) 모드 5 성능개량사업 양산 및 개발(890억)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3차 양산 매출(520억) ▲해군의 차기고속정(PKX-B) 전투체계(300억) 등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올해 TICN 3차 양산, IFF 모드 5,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정비 사업 매출 증가로 매출과 이익 증가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부문 매출은 1558억원, 영업이익은 15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에 반영된 주요 사업은 보험코어 시스템 구축 사업(79억원)과 차세대 ERP(전사적자원관리) 구축 사업 등이다.

회사 측은 이날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작년 3분기에 방산·ICT 부문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다른 분기 대비 높았다"면서 "전년 동기보다는 낮지만, 올해 3분기 방산 부문 영업이익률이 8%를 넘겼고 ICT 부문 영업이익률은 9.7%로 통상적인 이익률 대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 3분기 기준 수주잔고 총 4조 이상…방산 3.7조·ICT 3000억

올해 수주잔고는 작년 수주잔고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도 방산·ICT 사업의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3분기 말 수주잔고는 총 4조원 이상으로 방산이 3조7000억원, ICT가 3000억원 정도"라며 "방산이 4000억원 가까이, ICT는 1400억원 정도 신규 수주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전체로 본다면 작년 수주잔고인 4조1000억원보다 더 증가하는 수준으로 수주잔고를 예측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화시스템에 따르면 방산 부문에서 지난달 3600억원 규모의 군 위성통신 양산사업을 계약했으며 4500억 규모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4차 사업, 1300억 규모의 MCRC(중앙방공통제소) 수주 등이 예정돼 있다.

한화시스템과 오버에어(Overair)가 공동개발하고 있는 에어모빌리티 '버터플라이' [사진=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사업 부문 영업손실은 64억원을 기록했다. ▲위성통신안테나 관련 자회사 한화페이저 영업 손실 ▲UAM 관련 지분 투자회사 오버에어 지분법 손실 ▲디지털 플랫폼 관련 자회사 영업 손실 등이 발생했다.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용 위성을 발사한 영국의 원웹에 3억달러를 투자했으며, UAM 기체 개발 업체인 오버에어에 전환사채 3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9년 7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UAM 시장에 진출해 미국 오버에어와 에어택시 기체인 '버터플라이(Butterfly)'를 공동개발 중이다.

신사업과 관련된 투자 확대로 손실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신사업에 착수해 4분기부터 내년까지 집중 투자가 예상돼 관련 손실 증가가 예측된다"고 전망했다.

wisdo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