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뉴스핌] 문미선 기자 = 코로나19 차원을 넘어 디지털 총회의 가능성을 제시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총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제9차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 총회가 16일 폐회식을 끝으로 6일 간의 일정을 성공리에 마쳤다고 17일 밝혔다.
![]() |
강만관 본부장이 제9차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 총회 폐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세계유산본부] 2021.12.17 mmspress@newspim.com |
이날 폐회식에서 덴마크 베스트일랜드(Vestjylland), 핀란드 사이마(Saimaa) 등 올해 현장심사를 마친 8곳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심의를 통과해 내년 4월 유네스코 총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특히 총회에서 처음 열린 세계지질공원 필름 페스티벌에서는 74개 세계지질공원 출품작 중 세 작품이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됐고, 이 중 스페인 오리젠스(Origens) 세계지질공원 영상이 대상을 수상했다.
또 제1회 청년포럼에서는 인도네시아 임마누엘 데오 실랄라이(Immanuel Deo Silalahi)씨가 의장으로 선출됐으며 유네스코 및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청년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제주총회는 역대 최대 규모인 280여 편의 주제발표와 역대 최대 참가 인원인 3000여 명이 참여해 국제협력 방안과 기후변화 대처 등 세계지질공원의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이번 총회에서 첫 선을 보인 세계지질공원 가상 홍보관과 제주 세계지질공원 가상트레일 답사는 큰 호응을 얻었고, 이에 향후 1년여 동안 가상홍보관과 답사 체험프로그램을 연장했다.
폐막식에서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니콜라스 조로스(Nickolas C. Zouros)의장은 "제주는 가장 훌륭한 세계지질공원 중 한 곳으로 첫 디지털 총회를 효율적이고 감동적으로 개최했다"면서 "역대 총회 중 가장 성공적인 총회였다"고 호평했다.
이어 총회를 총괄한 강만관 세계유산본부 본부장은 폐회사를 통해 "제주총회가 세계지질공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가 됐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총회 운영으로 전 세계에 제주의 역량을 알리는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차기 총회개최지는 프랑스, 브라질, 멕시코, 모로코 등 4개국이 치열한 유치전 끝에 모로코 므군(M'Goun) 세계지질공원이 선정됐다.
mmspre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