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은혜 기자=국민연금은 제도 시행 35년 만에 '수급자 600만명 시대'를 열었다고 밝혔다.
23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급자는 지난 2020년 4월에 500만명을 넘은 뒤 2년 1개월 만에 600만명을 돌파했다. 연금수급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빠르게 늘면서 300만명에서 400만명까지 4년 8개월, 500만명까지 3년 6개월이 소요됐다.
![]() |
왼쪽부터 정호원 연금정책국장, 류정영 강릉지사장, 수급자 박용수 씨, 김정학 연금이사가 국민연금 수급자 600만명 돌파를 기념하는 행사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국민연금) (사진=국민연금) |
국민연금은 2022년 3월까지 592만명에게 총 2조6000억원을 연금으로 지급했다. 급여종별로는 노령연금이 83.7%로 가장 많았고, 유족연금(15.1%), 장애연금(1.2%)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 연금수급자가 265만명으로 지난 2020년 4월 대비 21%(46만명) 늘었다. 이는 전체 연금수급자의 44.7%에 해당한다.
합계 300만원 이상 받는 부부 수급자는 330쌍, 그 중에서도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의 수는 54만3491쌍으로 집계됐다.
62세 이상 수급자의 수는 556만명으로 20%(92만명) 늘었다. 금액별로는 100만원 이상 수급자가 49만명으로 65%(19만명) 증가했다.
국민연금 측은 "수급자의 증가는 고령화 시대를 맞아 국민연금이 국민의 노후생활 안전망으로써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연금수급자 600만명 돌파를 기념해 '600만번째 수급자'로 선정된 박용수(62세)씨에게 국민연금 수급증서와 기념품을 전달했다. 박 씨는 1988년에 국민연금에 가입해 총 31년 3개월 동안 8658만원을 납부했으며, 8개월의 실업크레딧 기간이 추가돼 매월 총 168만원의 연금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기대수명(83.4세)까지 납부한 보험료의 5배 이상인 약 4억3600만원의 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김정학 연금이사는 "국민연금 수급자 600만명 시대를 연 것은 국민들의 신뢰와 성원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국민들에게 신뢰받는 공단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hesed7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