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년 상황 담은 대통력…지난 9월 일본서 환수
류성룡 선생 수택본, 은퇴 후 고향서 기록
이순신 장군 전사 상황 묘사 담겨…"사료적 가치 높아"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400여 년 전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일상이 담긴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부하 장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출전해 전사한 사실을 담은 기록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9월 일본에서 환수한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를 24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하고 환수 과정과 유물의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4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언론공개회에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가 공개됐다. '대통력 경자' 표지. 이순신을 뜻하는 '여해'(汝諧) 기록이 나와있음. [사진=문화재청] 2022.11.24 89hklee@newspim.com |
이번 유물은 김문경 교토대학 명예교수의 제보를 통해 그 존재가 알려졌으며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은 정보 입수 이후 수차례 면밀한 조사를 거쳐 지난 9월 국내로 들여오는데 성공했다. 유물의 유출 경로는 알 수 없으며 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유물은 2020년 일본인 소장자가 경매를 통해 매입했다.
책은 표지를 포함해 16장으로 구성되며 금속활자본이다. 일부가 손상됐지만, 전체적으로 훼손이 크게 진행되진 않은 상태다.
'대통력'은 오늘날의 달력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책력'이다. '책력'은 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를 기록한 책으로 농사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지침으로 활용돼 왔다.
이번에 환수한 유물은 류성룡 선생이 기록한 경자년(1600년)의 상황이 담겨있다. 정제규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은 "류성룡 선생이 은퇴(1598년) 후 고향인 안동에 내려와 옥연서당에서 곁에 두고 그날의 일들을 비망기로 작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경자년의 24절기 일시를 표기한 부분(우측면)과 연신방위지도 부분(좌측면) [사진=문화재청] 2022.11.24 89hklee@newspim.com |
이번에 환수돼 공개된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은 다양한 문화적·역사적 가치가 높다. 무엇보다 류성룡 선생의 손때가 묻은 '수택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수택본'은 소장자가 가까이 놓고 자주 이용한 책이다. 류성룡 선생은 붉은색으로 그날의 날씨와 일정, 약속, 병세와 처방 등을 기록했다. 기재된 필적과 주로 언급되는 인물, 사건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서애 류성룡의 문집인 '서애집' 중 류성룡의 연대기가 기록된 '서애선생연보'와 내용을 대조해 본 결과 서애 류성룡의 수택본으로 추정된다.
국내 현전하지 않는 경자년의 기록물이라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경자년의 역사적 의미는 일본에 압송됐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었던 강항(1567~1618)이 귀국한 해다. 강항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했고 정유재란 때 일본에 포로로 끌려갔다가 성리학을 전하고 1600년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일본에서 1600년대의 상황을 정리한 '간양록'을 편찬하기도 했으며 일본서도 추앙받는 인물로 통한다.
무엇보다 이번에 공개된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가철된 표지에 임진왜란기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의 이야기가 담겨있어 사료적 가치를 더한다. 이기는 전쟁에만 나섰던 이순신 장군은 부하 장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직접 출전해 전쟁을 독려하다가 탄환을 맞고 전사한 상황이 묘사돼 있다.
이 대통력의 원표지는 이미 오래전 상실됐으며 현재 남아있는 가쳘된 표지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자(字)인 '여해(汝諧)'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아울러 류성룡 선생이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임진왜란의 전란사를 담은 '징비록'(국보 제132호)의 필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이번 대통력이 류선생의 필본임을 알 수 있다. 이날 정제규 위원은 "징비록으로 작성하던 메모가 가표지로 쓰였을 수도 있다"고 첨언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최응천 문화재청장, 종손 류창해씨, 김정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이 24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공개 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문화재청] 2022.11.24 89hklee@newspim.com |
이번 환수는 류성룡 선생의 종손가 소장 자료들인 보물 '유성룡 종가문적'에도 빠져있던 새로운 자료를 발굴해 찾아왔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풍산류씨 종손인 류창해 씨는 "직접 술 제조법을 여백에 기록했다는 것은 아마 다른 문적에서 보지 못한 기록일 것"이라고 전했다.
정제규 위원은 술 빚는 법에 대한 기록에 대해 "감주, 밀주, 여러가지가 있다. 술의 종류가 다양하다"면서 "현재 기록에 나온 것도 7, 8종이 확인된다. 자세하게 쌀 빚는 것부터 해서 물을 얼마나 집어 넣고 상세한 내용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교적 예법에서 술은 아주 중요하다"며 "제사를 모시고 빈객을 모시는 예의절차에서 술은 중요하다. 유교적 예악에 근거를 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은 추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안전하게 보존관리하면서 조선시대 과학문화재들과 함께 류성룡 관련 원천 자료로 연구·전시 등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