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위탁생산·복제약 등 국제 순위 2위
반도체·이차전지 이은 수출 주력분야 기대
올해 첨단바이오 R&D 5594억 투입 예고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경제1.0에서 앞으로는 바이오를 산업전반의 성장동력으로 활용한 바이오경제 2.0 시대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오후 1시 40분 새해 첫 현장 정책행보로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오송공장'을 방문해 이 같이 제시했다.
사상최대 무역적자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규모의 수출 성과는 빛이 바랬지만 앞으로 우리나라 수출 산업의 한 획을 그을 분야가 바로 바이오산업이라는 게 이창양 장관의 생각이다.
[서울=뉴스핌]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2.8.16 photo@newspim.com |
이번에 방문한 LG화학은 바이오의약품뿐만 아니라 바이오소재, 바이오연료를 개발∙생산하는 대표적인 '바이오경제 2.0' 기업이다. 연 7만5000톤 규모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공장을 미국 일리노이주에 추진할 뿐만 아니라 충남 대산에서 차세대 바이오오일인 '수소화식물성오일(HVO)' 생산공장 건설에도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백신 등 바이오 산업이 그동안 급성장했다. 그동안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은 세계 2위 규모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능력을 갖췄다. 현재 미국이 48만6000리터 규모의 위탁생산량을 기록하며 1위에 올라있으며 우리나라는 38만5000리터로 2위다. 독일은 24만6000만리터 수준으로 3위다.
이와 함께 바이오의약품복제약(바이오시밀러)을 보더라도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 복제약에서 미국은 21개로 1위, 우리나라는 8개로 2위에 올랐다. 스위스가 4개로 3위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의 종식이 다가온 상황에서 현재 상황의 바이오 산업으로는 수출 도약을 일궈내기가 어렵다는 게 이 장관의 평소 생각이기도 하다.
이 장관은 지난해 연말께 기자간담회에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한다는 차원에서 '야전 산업부'가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렇다보니 이날 새해 첫 행보에서 이 장관이 바라보는 산업 우선순위가 그대로 나타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부 한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수출은 역대 최대규모를 보였지만 올해 글로벌 경제가 더욱 어려워지는 만큼 지난해와 같은 수출 전략이 먹히지 않을 수 있다"며 "반도체를 비롯해 이차전지에 이어 바이오산업이 산업 전반에서 성장의 고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 체결식 및 업계 간담회에서 체결식을 마친 후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10.13 yooksa@newspim.com |
실제 산업부는 올해 반도체, 이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 분야 가운데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에 1144억원을 지원한다. 국가 첨단산업분야에서 바이오가 견인해야 몫이 크다는 얘기다. 여기에 올해 바이오데이터·바이오소재·바이오에너지·바이오제조 등 4대 분야를 중점 육성하고 민관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바이오경제 2.0 로드맵(가칭)'도 수립한다.
첨단 바이오 산업의 기술력을 높이고 수출을 확대하려는 이 장관의 현장 행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맞장구를 쳤다.
이날 과기부는 바이오와 첨단디지털기술의 융합을 통해 신기술‧신산업을 창출하는 등 바이오 기술혁신을 위해 2023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밝혔다. 올해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규모는 5594억원으로 지난해 5547억원보다 47억원(0.8%)이 늘었다.
과기부는 신약‧의료기기 등 바이오 핵심산업 육성, 첨단바이오 미래전략기술 확보, 국민건강 증진 및 데이터기반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첨단 뇌과학,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데이터기반 연구 등 첨단바이오 미래유망 분야에 대한 신규사업 6개(254억원)도 진행한다.
정부 한 고위 관계자는 "바이오 분야와 관련, 산업과 기술의 조합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갖추고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로 바이오경제2.0"이라며 "현장과 연구·개발이 상호 밀고 끌어야 바이오 분야에서의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