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매, 어무이, 오매, 어멍...호칭은 달라도 울림은 같다
여자보다 앞서는 이름,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단어
'어매'의 가수 나훈아, 어머니는 그에게 특별한 존재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세상의 모든 인간은 엄마로부터 왔다. 그래서 여자보다 앞서는 이름은 어머니다. 어머니의 날, 어버이 날 등의 이름으로 5월 무렵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에게 존경과 애정을 표시하는 것은 만국 공통이다. 어머니들은 몸속에서 자식을 키워서 출산의 고통 끝에 세상에 내보낸다. 그걸로 끝이 아니다. 당신의 몸이 무너져 내리도록 젖을 먹이고, 당신의 손끝이 무뎌지도록 일을 해서 자식을 키운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곧 어버이 날이다. 부모님 가슴에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고 손이라도 꼭 잡아볼 일이다. 그 손이 얼마나 거칠어졌는지. 2024.05.02 oks34@newspim.com |
그러나 언제부턴가 우리는 '엄마'를 보통의 존재로 여긴다. 늘 거기 있어서 별로 귀하지 않은 공기이거나 그늘이다. 그러다가 가끔 세상살이가 어려워지거나 죽도록 외로워지면 어머니를 생각한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기형도 '엄마걱정'
기형도 시인의 아버지는 그가 열 살 무렵 병석에 눕는 바람에 어머니가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그런 어머니를 두었기에 시인은 좀 더 일찍 철이 들어서 어머니를 걱정했을 것이다.
어머니는 우리에게 늘 친구 같은 존재다. '아빠'는 철이 들면서 '아버지'로 부르지만 '엄마'는 평생 엄마로 남는다. 태어나서 처음 말을 할 때도 '엄마'이고, 살면서 가장 외롭고 쓸쓸할 때도 '엄마'를 부른다.
'어머니 앓아누워 도로 아기 되셨을 때/ 우리 부부 외출할 때나 출근할 때/ 문간방 안쪽 문고리에 어머니 손목 묶어두고 나갔네/ 우리 어머니 빈집에 갇혀 얼마나 외로우셨을까/ 돌아와 문 앞에서 쓸어내렸던 수많은 가슴들이여/ 아가 아가 우리 아가 자장자장 우리 아가/ 나 자장가 불러드리며 손목에 묶인 매듭 풀어드리면/ 장난감처럼 엎질러진 밥그릇이며 국그릇 앞에서/ 풀린 손 내미시며 방싯방싯 좋아하시던 어머니/ 하루 종일 이 세상을 혼자 견딘 손목이 빨갛게 부어 있었네.' -이시영 '어머니 생각'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영화 '마더' 포스터. [사진 = CJ ENM] 2024.05.02 oks34@newspim.com |
최근 은퇴투어를 하는 나훈아는 고향과 사랑, 어머니의 가수다. 그는 어머니를 불러내서 듣는 이의 마음을 흔들어 눈물을 쏟게 만든다. 누구나 한 번쯤 나훈아의 노래를 들으면서 눈물을 쏟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 자장가 대신 젖가슴을 내주던/ 울 엄마가 생각이 난다.'(2005년)
나훈아가 작사·작곡한 '홍시'는 어버이날이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사모곡이다. 부산 초량동 출신의 나훈아는 서라벌예고에 진학하면서 상경, 일찌감치 어머니와 떨어져서 형과 함께 지냈다. 우연히 오아시스 레코드사 사장의 눈에 띄어 고등학생 신분으로 가수가 됐다. 연습과정도 없이 음반을 내고 벼락스타가 됐지만 나훈아(본명 최홍기)라는 예명을 쓰는 바람에 부모님들도 데뷔 사실을 모르셨다.
마도로스로 무역선을 타고 전 세계를 누볐던 아버지는 '딴따라'가 된 아들을 끝내 인정하지 않고 돌아가셨다. 어머니는 어린 아들의 손을 잡고 민요 공연을 자주 보러 다닐 정도로 음악을 좋아하셨다. 돌아가시기 전까지 밑반찬을 해들고 아들집을 찾던 다정다감한 어머니였다. 어머니를 소환하는 노래로 1994년 발표한 '어매'도 있다. 나훈아는 작곡가 정경천이 만든 노래를 듣자마자 그 자리에서 바로 타이틀곡으로 정했다.
'어매 어매 우리 어매/ 뭣할라고 날 낳았던가/ 낳을라 거든 잘 낳거나/ 못 낳을라면 못 낳거나/ 살자하니 고생이요/ 죽자하니 청춘이라/ 요놈 신세 말이 아니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어머니의 거친 손. 2024.05.02 oks34@newspim.com |
세상의 많은 어머니만큼이나 호칭도 다양하다. 어매라고 부르기도 하고 어무이라 부르기도 한다. 어머이, 오매, 어멍도 있다. 어떻게 부르든 울림은 같다. 어머니에 대한 애절함도 있지만 아버지의 부재로 고통스런 사춘기를 보낸 이들도 많았다.
'어릴 적 내가 보았던 아버지의 뒷모습은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산이었습니다/ 지금 내 앞에 계신 아버지의 뒷모습은 어느새 야트막한 둔덕이 되었습니다.'
인순이의 '아버지'는 이와 같은 독백으로 시작한다. 인순이는 편모슬하에서 자랐다. 미군이었던 아버지가 모녀만을 남겨두고 떠나버려서 그녀는 '아버지의 뒷모습'을 볼 기회가 없었다.
우리들의 어머니는 눈물겹게 사랑스런 존재다. 그러나 아버지는 때로 원망스럽고 무뚝뚝한 사람이다. 그래도 '세상이 아무리 힘들어도/ 당신 있으면 견딜 것 같아'(아버지)라고 노래하는 임영웅의 목소리에서 세상 떠난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뚝뚝 묻어난다. 오늘, 이 세상에 어머니와 아버지가 계시다면 당신 손을 잡고 엄마라고 불러보자. 아니면 아버지라고 큰 소리로 불러보자. 두 분 모두 안계시다면 사진이라도 붙잡고 뜨거운 눈물을 흘리면 기분이 한결 나아지지 않을까.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2024.05.02 oks3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