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행안부·지방시대위·대구시·경북도 4개 기관 간담회
" '대구·경북 통합 기본 방향' 따라 대구시·경북도 주도 통합방안 마련"
[대구·경북종합=뉴스핌] 남효선 기자 = 소강상태에 빠졌던 대구경북행정통합 논의가 재개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6일 오후 대구무역회관에서 행안부·지방시대위와 함께 '대구경북행정통합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대구·경북 통합을 계속 논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 |
![]() |
![]() |
6일 오후 대구무역회관에서 열린 대구시·경북도·행안부·지방시대위의 '대구경북행정통합 관계기관 회의'. 사진 위의 왼쪽부터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사진=경북도]2024.09.06 nulcheon@newspim.com |
통합 논의위한 물꼬가 다시 트인만큼 향후 통합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앞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6월 4일 행안부·지방시대위와 함께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을 합의한 이후 약 3개월간 통합방안 마련 위한 논의를 진행해 왔다.
당시 합의한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은 ▲ 대구시·경북도 합의안에 기초한 통합 추진 ▲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 마련 등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4개 기관은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가 주도해 통합방안을 마련키로 뜻을 모았다.
또 통합자치단체의 종류와 광역-기초 간 관계 등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행안부와 지방시대위도 논의를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4개 기관은 앞으로 약 한 달 동안 매주 실무 협의를 개최키로 합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했다.
향후 대구시와 경북도가 통합방안에 최종 합의하면 통합 비용 지원과 행·재정적 특례 부여 등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이뤄질 예정이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