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지난해 대학교·대학원·전문대학·방송통신대학 등 졸업생의 취업률이 70.3%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남성과 여성의 취업률 격차는 벌어졌다. 또 대졸 취업자 100명 중 약 18명은 1년 내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6일 전국 고등교육기관의 2022년 8월 및 2023년 2월 졸업자 64만6062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 현황을 분석한 '202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교육부 제공] |
◆ 취업률 서울 72.9%, 부산 65.7%…7.2%p 차이
조사 대상 졸업생 중 취업자는 38만9668명명으로 취업 대상자(55만 4281)명의 70.3% 수준이다. 이번 통계는 기존과 달리 고등교육기관 전체로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이었지만, 이번에는 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기술대학, 전공대학, 사내대학, 전문대학원 및 특수대학원, 대학원대학까지 확대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88.5%, 프리랜서 7.4%, 1인 창(사)업자2.9%, 해외취업자0.6%, 개인창작활동종사자 0.5% 순으로 나타났다.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해외취업자 비율은 전년 대비 각각 1.0%p, 0.2%p, 0.1%p 증가했지만,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및 개인창작활동종사자, 농림어업종사자는 전년 대비 각각 1.1%p, 0.2%p, 0.1%p 감소했다.
학제별 취업률은 대학원이 82.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문대가 72.4%, 일반대학이 64.6%, 교육대학이 59.5% 순이었다.
대학원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모두 취업률이 감소했다. 일반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은 전년대비 각각 1.7%p, 1.5%p, 0.5%p 줄었다.
계열별로는 의약 계열(82.1%), 공학계열(71.9%) 취업률은 높은 반면, 나머지는 평균 취업률(70.3%)보다 더 밑돌았다. 교육 계열(69.5%), 사회 계열(69.4%), 예체능 계열(67.2%), 자연 계열(66.5%), 인문계열(61.5%) 순의 취업률을 보였다.
지난해 대비 인문, 사회, 교육 계열 취업률은 증가했고, 공학, 자연, 의약, 예체능 계열 취업률은 감소했다.
지난해 취업률은 의약 계열(83.1%), 공학계열(72.4%), 예체능 계열(68.1%), 자연 계열(67.2%), 사회 계열(65.8%), 교육 계열(63.4%), 인문계열(59.9%) 순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취업률은 72.2%, 비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68.5%로 지역 간 3.7%p 차이가 났다. 전년(2.7%p) 대비 1.0%p 증가했다.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72.9%), 인천(72.3%), 울산(71.6%), 전남(71.4%) 등 7개 시도는 평균 취업률(70.3%)보다 취업률이 높았다.
취업률이 낮은 시도는 부산(65.7%), 경북(67.5%), 전북(67.7%), 광주(67.6%) 등 순이다.
취업률이 가장 높은 서울과 부산 간 차이는 7.2%p다.
지난해 대비 증가 폭이 가장 큰 시도는 제주(70.9%)도로 전년 67.7%에 비해 3.2%p 올랐다.
성별로는 남성 72.4%, 여성 68.5% 취업률이었다. 성별 간 격차는 3.9%p로 전년(3.0%p 격차)보다 0.9%p 늘었다.
성별 간 격차는 2020년 4.0%p이후 2021년(3.4%p), 2022년 3.0%p로 2년 연속 줄었지만 이번 조사에서 다시 늘었다.
시도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사진=교육부 제공] |
◆ 월평균 수익, 대졸 309만원ꞏ전문대졸 257만원
취업 상세 정보 확인이 가능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월 평균소득은 대학원 졸업자는 509만 6000원, 대학 졸업자는 309만1000원, 전문대 졸업자 257만7000원이었다.
전년에는 대학 272만3000원, 일반대학원 496만8000원이었다.
취업 준비기간은 졸업 전(입학 전 포함) 취업자(44.3%), 졸업 후 3개월 이내 취업자(21.4%), 6~9개월 이내 취업자(13.1%), 3~6개월 이내 취업자(12.9%), 졸업 후 9개월 이후 취업자(8.2%) 순이다.
취업 준비기간이 3개월 미만(21.4%), 3~6개월 미만(12.9%)인 취업자 비중은 전년(25.3%, 15.5%) 대비 각각 3.9%p, 2.6%p 감소했다.
기업유형별 취업 비율은 중소기업(41.8%), 비영리법인(17.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12.2%), 중견기업(10.8%), 대기업(10.2%), 기타(4.3%), 공공기관 및 공기업(3.5%) 순이다.
202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2021.8월 졸업자 포함) 중 건강보험 직장가입자(34만4899명)의 취업 후 1년 내(2022년 12월 31일 기준) 일자이를 이동한 비율은 18.4%로 전년 대비 3.3%p 하락했다.
성별 이동률을 보면 남자 16.8%, 여자 20.0%로 여자가 남자보다 3.2%p 높게 나타났다.
학제별 이동률은 전문대학(21.3%), 산업대학(20.6%), 기능대학(17.9%)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대학(4.7%)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계열별로 보면 예체능 계열(22.3%), 교육 계열(21.0%), 의약 계열 (21.0%), 인문계열(19.5%), 자연 계열(19.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0년 졸업자의 취업 후 3년 내(2023년 말) 이동률은 45.5%, 2020년 졸업자의 취업 후 2년 내(2022년 말) 이동률은 36.6%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통계조사는 취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대학생과 청년들이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