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역에 투명 OLED 설치해 영상 노선도 운영
약자동행 디자인 원칙 반영, MZ 감각 서울알림체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지속적인 연장과 확장을 거듭해 서울지하철 1~9호선 포함, 이제는 23개 노선이 된 '호선별 노선도'(단일노선도)가 40년만에 새 옷으로 갈아 입는다.
서울시는 '신형 단일노선도'를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부착한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의 단일노선도는 지하철 역위치·이동방향, 지자체 경계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행길 이용자와 노약자에게 불편을 초래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표기와 숫자 표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 |
투명OLED 화면 [사진=서울시] |
서울시는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읽기 쉬운 표준 디자인을 개발했으며, 이번 디자인은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공된다.
자문에 참여한 최성호 서울시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위원장은 "신형 단일노선도는 약자동행 디자인 원칙을 반영, 통일성 있는 서울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새로운 서울서체인 '서울알림체'를 활용해 디자인과 가독성을 한단계 높였다"고 말했다.
![]() |
신형 단일노선도 디자인 [이미지=서울시] |
시에 따르면 신형 노선도의 색상 체계는 색각이상자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됐으며, 환승라인은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됐다. 서울의 중요한 지리적 정보를 반영해 이용 편의도 높였다는 평가다.
또 서울시청, DDP, 남산서울타워 등 주요 명소를 상징하는 픽토그램 14종도 노선도에 적용된다. 이를 통해 관광객이 서울의 대표명소를 쉽게 찾고 다채로운 정보를 즐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 |
랜드마크 픽토그램 [이미지=서울시] |
시는 MZ세대의 감각을 담아 새롭게 개발한 '서울알림체'도 적용, 시민들이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텍스트는 섬세한 디자인으로, 단일노선도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정보안내체계로 완성돼 서울의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
서울알림체 [이미지=서울시] |
아울러 시는 투명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을 활용해 승강장 안전문에 정보를 제공한다. 여의도역에 32대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돼 시민들에게 노선도와 비상 안내를 제공할 예정이다.
투명 OLED 설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통한 '신시장 창출형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 일환이며 가동은 서울교통공사가 맡는다.
한편 시는 지난 2023년 23개 노선(624개 역)의 쉽고 직관적인 노선도를 개발해 적용을 완료했으며, 이 노선도는 고령자와 색각 이상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 디자인을 채택했다.
최인규 디자인정책관은 "서울지하철 신형 단일노선도는 전체노선도의 특징인 약자 동행을 이은 읽기 쉽고 보기 쉬운 디자인으로 제작됐다"며 "향후 전동차, 승강장은 물론 굿즈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돼 신형 전체노선도 함께 서울을 대표하는 디자인 아이콘으로 글로벌 도시 위상강화와 관광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