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력 저하,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 최대 1.27배 증가
[춘천=뉴스핌] 이형섭 기자 = 강원대학교병원 연구팀이 청력 저하가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신경과 장재원 교수와 이비인후과 김태수 교수는 강원대 정보통계학전공 김영주 교수와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 고령자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지난 2002년부터 2008년 사이 51만여 명의 고령자를 추적 분석했다.
![]() |
강원대병원 장재원, 김태수 교수.[사진=강원대병원] 2025.04.17 onemoregive@newspim.com |
연구 결과 청력 저하 환자의 치매 발병 위험은 일반인보다 1.245배, 특히 알츠하이머병 위험은 최대 1.27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청력 저하는 혈관성 치매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는 2025년 2월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장재원 교수는 "청력 저하는 인지 기능 저하를 가속화하며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유의한 위험인자로 확인됐다"며 조기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태수 교수는 "50세 이상에서 청력검사를 통해 난청 여부를 확인하고 보청기 등의 청각 재활이 인지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지역 내 치매 예방과 청각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조명해 눈길을 끌고 있다.
onemoregiv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