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이용권 4종으로 변경
지원 대상 늘리고 연령대 다양화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교육부가 평생교육이용권 대상자를 확대했다. 차상위 계층과 장애인뿐 아니라 65세 이상 고령자와 30대에게도 혜택이 주어진다.
교육부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는 오는 24일부터 다음달 14일까지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1차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23일 밝혔다.
![]() |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전경 [사진 = 뉴스핌] |
평생교육이용권은 저소득층, 장애인 등에게 연간 35만 원(우수 이용자 최대 70만 원)의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평생교육 참여 기회를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부터는 기존의 일반 이용권(기초생활 수급자·차상위 계층)과 장애인 이용권 외에도 노인 이용권과 디지털 이용권이 신설돼 총 4종으로 확대됐다. 디지털 이용권은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발급되며 디지털 관련 평생교육을 수강할 수 있다.
지원 규모도 키웠다. 지난해 보다 3만6000명 늘어난 약 11만5000명이 지원 대상이다. 이들에게 연간 35만 원(최대 70만 원)씩 총 362억 원을 지원한다.
평생교육이용권으로 전국의 평생교육 시설에서 인문학과 어학,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이용권은 본인 명의로만 사용 가능하며, 교재 외 전자기기나 기타 물품 구입에는 사용할 수 없다.
1차 신청은 서울, 부산, 대구 등 13개 시·도에서 저소득층 성인과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노인과 디지털 이용권은 6월경 별도로 공고하고 2차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사회 환경과 기술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성인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누구나 평생 학습을 통해 더 발전할 수 있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