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 1인 가구, 주로 다가구주택이나 오피스텔에서 월세로 거주
임차보증금 보호제도 미활용 청년층 다수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서울에서 자취하는 청년 10명 중 6명은 월세로 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중 다수가 보증금 미반환에 대해 걱정하면서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연령대별 점유형태 비율. [자료=알투코리아투자자문] |
15일 알투코리아에 따르면 서울시 청년 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나 1인 가구가 늘면서 전체 가구 수는 증가세다.
2023년 서울시 청년 인구는 전체의 30.5%(약 287만명)로 2015년 32.3%에 비해 1.8%p(포인트) 줄었다. 통계청 인구총조사에 의하면 20세 이상~39세 이하 가구 수는 2015년 105만8000가구에서 2023년 119만8000가구로 증가했다.
1인 가구의 비중은 20대 초반 89.5%, 20대 후반 81.4%로 20대에서 가장 높았다. 최근 미혼, 만혼 등의 이유로 30대 전반에 걸쳐 1인 가구 비중이 급증했다. 만 30세 이상~34세 이하의 1인 가구는 2015년 45.2%에서 2023년 63.5%로 18.3%p, 만 35세 이상~39세 이하 1인 가구는 28.0%에서 42.2%로 13.2%p씩 각각 늘었다.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는 단독주택(다가구 포함),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단독주택(37.9%) 오피스텔(25.8%) 다세대주택(17.2%) 아파트(11.2%) 등 순이다. 청년 1인 가구의 60%는 보증금이 있는 월세 형태로 살고 있다. 거주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가 점유 가구의 비중은 커지는 추세지만, 자가 점유 비율이 기장 높은 35~39세의 청년 1인 가구는 12.8%에 그쳤다.
서울에 사는 청년 1인 가구의 81.2%가 전용면적 40㎡ 이하의 초소형 주택을 선택했다. 이들 중 70%가 월세 가구였다. 대형주택은 0.7%에 그쳤으며 전세 형태로 거주하는 가구가 64.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혼자 사는 서울 청년 임차가구의 주거불안 요인은 '임대료 상승 또는 월세전환으로 인한 주거비 부담 증가'(35.2%)가 가장 많이 꼽혔다. 나이가 많아지면 임대료나 월세전환 불안이 커지는 모습이다. 35~39세의 경우 43.4%가 '주거비 부담에 대한 불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임차보증금 미반환 불안'(23.1%)도 높지만 보증금 보험상품에 가입한 비중은 2.9%뿐이다. 주거불안을 느끼는 청년 1인 임차가구가 주로 사용하는 임차보증금 보호 방법은 '확정일자 발급'(70.2%)이다.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는 48.3% 정도다. 보증금 보험상품 가입이나 확정일자 발급, 전세권 설정 등 임차인 보호 제도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청년 가구도 25.9%에 달했다.
이주일 알투코리아 부동산경제연구소 이사는 "빌라 공포 현상의 주요 대상인 비아파트 거주 청년 다수가 임차보증금 보호 제도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이들의 주거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비아파트 중 임대인의 재무구조가 우수하고 거주환경도 양호한 주택을 체계적으로 선별·관리·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