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바르샤바)-이탈리아(로마, 남부)-스위스(인터라켄, 융프라우요흐)-독일(프랑크푸르트)로 이어지는 12박 14일 일정
⑤아말피와 포지타노, 살레르노서 페리 탄다면 착석은 오른쪽
![]() |
페리에서 바라본 포지타노 전경. [사진=박노훈 기자] |
#3편 이어 다시 한 번 나폴리 '열차' 강조하는 이유
[수원=뉴스핌] 박노훈 기자 = 2025년 5월 7일 오전, 나폴리에서 살레르노로 아예 거점을 옮겼다.
살레르노는 그 도시 자체보다는 포지타노나 아말피로 이동하기 수월해 보였다.
그래서 미리 숙소를 예약했다.
그런데 가는 첫걸음부터 뭔가 꼬였다.
'나폴리-살레르노' 기차를 트렌잇 어플을 통해 예약했고, 오가다가 혹시나 해서 전 날 'MRT/REG'가 운행되는 '가리발디역'에서 역무원에게 표를 보여주며 "살레르노 갈려면 어디서 타야하냐"고 물어보니 "여기가 맞다"고 수차례 답이 돌아왔다.
폼페이에서 나폴리로 올 때의 열차(MRT/REG노선, 이 때는 이 개념을 몰랐다)가 살레르노부터 출발해 폼페이를 거쳐 나폴리까지 왔기 때문에 역무원의 답에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앞서 3편을 통해 나폴리에서 남부를 열차로 가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라고 미리, 장황하게 설명했던 이유가 이 날 있었던 일 때문이다.
![]() |
포지타노 골목 풍경들. [사진=박노훈 기자] |
이 세 가지는 모두 다른 노선으로, 트렌잇 어플로 예약한 기차표(나폴리 중앙역에서 타야 함)를 들고 'MRT/REG' 플랫폼으로 가 기다린 셈이 됐다.
역무원 입장에서 보면 'MRT/REG'도 살레르노를 가는 노선이 있기 때문에 아예 틀리게 알려준 건 아니지만 표까지 건네 보여주며 물어본 입장에선 정확히 알려주지 않아 아침부터 약간의 짜증이 밀려왔다.
어찌됐던 다시 기차를 타러 나폴리 중앙역으로 발길을 옮겼고 예매했던 시간대의 기차는 놓친 채 다른 기차에 올라 살레르노에 도착했다.
지정석이 아닌 기차표였기 때문에 표를 별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 날 하루동안 사용할 수 있는 표였다.
![]() |
페리에서 바라본 아말피 전경. [사진=박노훈 기자] |
#남부는 소렌토-포지타노-아말피-살레르노 순 연결
살레르노 숙소는 체크인 시간보다 2시간 여 빠르게 입성할 수 있어 짐을 놓고 바로 선착장으로 갔다.
이 선착장은 JTBC 여행 예능 프로그램인 '톡파원25시'에도 나왔던 곳으로, 이탈리아 톡파원이 '이탈리아 남부에서 프러포즈를 하고 싶다'는 사연자를 위해 방문했던 곳이다.
미리 알고 간 건 아니었고, 짐작은 했었지만 선착장의 모습과 표를 사는 곳, 그리고 '페리 오른쪽에 앉아야 풍경이 좋다'는 식의 팁을 언급한 것에서 확신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 남부 '소렌토-포지타노-아말피-살레르노'는 지역명을 나열한 것처럼 왼쪽(소렌토)부터 오른쪽(살레르노)으로 이어져 있다.
즉, 오른쪽에 앉아야 풍경이 좋다는 이야기는 페리가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갈 때(육지가 오른쪽 바다가 왼쪽) 즉, 살레르노에서 소렌토 방향으로 갈 때 해당 되는 이야기다.
이날 경험한 동선만 압축하자면 살레르노에서 페리를 타 포지타노에서 내려 둘러 본 후 포지타노에서 아말피로 가 관광 뒤 다시 살레르노로 돌아왔다(모두 페리 이용).
![]() |
아말피 골목(왼쪽)과 대성당 모습. [사진=박노훈 기자] |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남부에서 살 만한(?) 건 이미 소렌토에서 끝냈기 때문에 포지타노와 아말피는 아름다운 풍경만을 눈에 담아왔다.
아쉬운 건, 살레르노가 그리 작은 도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정상 많이 둘러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분위기는 스페인 말라가와 비슷했다.
#내돈내산 팁(TIP)
1.남부의 출발점을 살레르노로 정한 건 교통 때문이다. 살레르노는 기차역과 선착장의 거리가 도보로 이용할 정도로 가깝다. 나폴리 뿐 아니라 로마에서 출발(기차)해 당일치기로 남부 투어를 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1박을 머물고 다음날 오전 일찍 로마로 가는 일정을 잡았다.
2.페리 티켓 부스는 선착장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이탈리아어를 모르니 회사가 다른 지 같은 지 등의 속사정은 모르겠으나, 몰라도 이동하는 데 문제가 되진 않는다. 타임테이블을 보고 페리 이동 시간을 참고한 뒤 이동할 때마다 갈 곳의 표를 사서 승선하면 된다.
![]() |
살레르노 페리 티켓 오피스(왼쪽)와 살레르노 해안가 풍경. [사진=박노훈 기자] |
3.단, 타임테이블은 참고만 하라. 이동할 때 구두로 물으니 시간표와 다르기도 하고, 내릴 때 없던 시간표가 떠날 때 부착되기도 했다.
4.타임테이블에 적힌 이동 시간도 달랐다. 처음 살레르노에서 포지타노까지는 70분으로 표기돼 있었지만 정확히 90분이 걸렸고, 아말피서 살레르노까지 35분으로 적혀 있었으나 그날은 30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페리 특성상 파도와 바람 등 환경적 요인이 컸을 것으로 짐작된다.
ssamdor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