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S전략컨설팅 대표 박상철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폭우와 폭염이라는 이중의 재난을 동시에 경험했다. 수도권과 남부 지역에 5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쏟아졌고 38도를 넘는 폭염이 전국을 달궜다.
이는 단순한 기상 이변이 아니라 기후변화가 초래한 복합재난의 전형으로 폭우는 하천 범람과 산사태, 도시 침수 등의 피해를, 폭염은 열사병 증가와 전력 수요 폭증, 농작물 피해 등 사회 전반에 직격탄을 날렸다.
![]() |
박상철 MTS전략컨설팅 대표 |
이러한 복합재난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명시한 자연재난 범주에 해당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예방에서부터 복구까지 전 주기적인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
이 법은 재난관리의 4단계(예방→대비→대응→복구)를 규정하고, 국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국가의 책임으로 명확히 하고 있다. 국민 안전을 위해 재난정보 공개와 피해자 인권 보호 또한 중시된다.
민간과 공공기관의 재난 대비 역량 강화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BCMS)를 가동 중이다.
BCMS는 재난 발생 시 업무 중단을 최소화하고 빠른 회복력을 확보하도록 도와 복합재난 시대 기업과 기관의 대응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다만 BCMS가 아직 현장에서 얼마나 실효적으로 작동하는지는 지속적 점검과 보완이 요구된다.
2025년 폭우와 폭염은 복합재난이 현실화한 사례이자 전통적 단일 대응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전환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재난은 더 이상 단순한 예외적 사건이 아니라 기후위기가 일상화한 사회 문제다. 따라서 지역별 기후위험도를 반영한 맞춤형 대응 전략 마련, 민관 협력체계 확대, 재난정보 실시간 공유 및 AI 기반 예측 시스템 도입 등이 실행돼야 한다.
기후위기 시대에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설정한 틀은 대응의 출발점일 뿐이다. 핵심은 이를 현장과 조직에 실효성 있게 적용해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실천력에 있다. 한국 사회는 이제 '예방'과 '회복'의 전 주기적 재난관리 체계를 강화하며 더 나은 복합재난 대응 능력을 갖춰야 한다.
오늘의 폭우와 폭염은 다시 올 복합재난의 전조이고 이에 대한 대응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생존 문제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과 시민 모두 재난관리에 적극 참여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BCMS 운영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 복합재난에 대한 지혜로운 대처를 모색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