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계속 고용 현황 조사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최근 국회를 중심으로 정년 연장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중견기업계에서 기업 경쟁력 제고와 고령자 근로 안정을 위해 퇴직 후 재고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0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발표한 '중견기업 계속 고용 현황 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의 62.1%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퇴직 후 재고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년 연장'과 '정년 폐지'는 각각 33.1%, 4.7%를 기록했다.
![]() |
| [사진=한국중견기업연합회] |
중견기업계는 현행 60세인 법정 정년이 일률적으로 연장되면 인건비 부담이 가중(64.5%)하고, 청년 신규 채용 여력이 감소(59.7%)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 응답자 중 41.4%는 조직 내 인사 적체가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인건비가 3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6.6%, 20% 이상 27.8%, 10% 이상 증가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45.0%에 달했다.
현재 중견기업의 52.6%는 법정 정년을 넘긴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고 있으며, 이 중 69.6%는 '퇴직 후 재고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재고용 사유는 ▲기존 근로자의 전문성·노하우 활용(84.2%) ▲신규 채용 애로로 인한 인력난 해소(24.7%)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20.2%) ▲노동조합 등 근로자 측 요구(14.6%) 순으로 많았다.
전체 31.4%가 퇴직 후 재고용된 근로자의 임금은 정년 시점 대비 9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23.6%였다. 중견기업의 31.4%는 '100% 이상'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중견기업은 고령자 계속 고용 활성화를 위해 세제 혜택 확대(57.9%), 인건비 직접 지원(53.2%), 고용 유연성 제고(37.2%), 사회보험료 부담 완화(36.0%)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stpoemseo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