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암호화·국내 저장으로 디지털 주권 강화
금융·제조 중심으로 우선 도입, 산업 전반으로 확대
하드웨어 기반 '기밀 컴퓨팅'·'관리형 HSM' 적용해 보안 극대화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해 국내 규제와 보안 요구에 특화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ecure Public Clou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금융과 제조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적용, 향후 공공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해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강력한 멀티 클라우드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고 자신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MSP)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 |
| 사진은 모델들이 국내 디지털 주권과 강력한 클라우드 성능을 동시에 충족하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KT] |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고성능을 제공하면서도, 국내 데이터 보호 규제에 부합하는 보안 체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KT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국내 디지털 주권을 지키는 한국형 클라우드'로 정의하고, 데이터 보안과 자원 통제, 국내 데이터 저장을 핵심 원칙으로 삼았다.
또한, 소버린 클라우드 제공을 위해 ▲데이터 전 과정(저장·전송·활용)의 안전한 보호 ▲고객 자원 권한 강화 ▲국내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기반으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설계했다.
보안 강화를 위해 하드웨어 기반의 '기밀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 기술도 도입됐다. 이는 클라우드 메모리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해 외부 접근을 원천 차단하는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 처리 중에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하드웨어 보안 모듈(Hardware Security Module, HSM)을 활용해 기업이 직접 관리하는 전용 키(Customer Managed Key)도 안전하게 생성·보관·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터 서버 내 활용까지 클라우드 환경 전체에서 암호화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KT는 데이터의 기본 저장 위치를 국내로 한정해 모든 데이터가 한국 내 기업과 기관의 권한 아래에서만 통제되도록 했다.
한편 KT는 클라우드 MSP 사업자로서 클라우드 구축 컨설팅부터 운영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 이후에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보안 요건에 따라 CSAP 인증을 획득한 KT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유서봉 KT Enterprise부문 AX사업본부장(상무)은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고객의 디지털 주권을 지키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보안·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하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라며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소버린 클라우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적용 범위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