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는 3일 제출한 분기 보고서를 통해 먼저 "신용 호황이 앞서 발생한 모든 위기의 경우 대부분 신용-산출(GDP)비율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는 등 디레버리징(부채 축소)는 피해 갈 수 없는 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당국은 신용 경색 발생 이전에 급격한 공공채무 증가에 일부 책임이 있는 부적절한 규제 방식을 수정해야 하며, 또한 은행들은 초기에 손실을 완전히 인식하게 하고 충분한 자본을 재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BIS는 충고했다.
이날 BIS의 화폐 및 경제분과 대표인 스티븐 체케티(Stephen Cecchetti)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위기는 항상 장기간에 걸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기간이 뒤따르는 법"이라면서, "역사적인 경험으로 볼 때 이번 위기에는 특히 민간부문의, 특히 가계의 지속적인 부채 축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보고서에서 BIS는 최근 20년 사이 일본의 두 차례 경험을 인용했다. 그 처음은 1992년부터 1997년 사이로 신용-GDP 비율이 7%포인트 정도 줄어드는데 그친 경우이며, 그 다음은 1999년 중반부터 2008년말까지 그 비율이 무려 26%포인트나 급감한 사례이다.
BIS는 "놀랍게도 두 번째 사례가 명목 신용 감소세는 더 컸지만 첫 번째 경우보다 신용공급의 제약이 더욱 심각했다는 증거가 별로 없다"면서, "그 이유는 후자의 경우 일본 당국이 처음의 경우보다 은행권의 문제를 더 적극적으로 풀어냈다는데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경기가 회복될 때는 민간부문의 채무 축소를 우려하는 것보다는 먼저 위기를 발생시킨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BIS는 결론내렸다.
BIS는 특히 "일본의 경험은 정책당국으로 하여금 민간부문의 부채 축소를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가에 대해, 즉 이 경우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먼저 푸는 것이 중요하다는 핵심 교훈을 제공"한다고 강조햇다. 특히 손실을 미리 인식하고 은행 재무 구조조정과 신규 자본확충이 중요하다고 BIS는 강조했다. 그래야 "은행도 새로운 대출에 나설 수가 있게"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