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수호 기자] 네오플을 창립한 IT 업계의 젊은 CEO 허민 대표가 위메프 '갑질논란'에 휩싸이면서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업계에서는 그 동안 숱한 위기에서 '치고 빠지기' 전술로 기사회생했던 그가 이번에는 어떤 묘수(?)를 찾아낼지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선 그가 위메프를 등지고 게임업계로 돌아올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12일 IT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 게임사 넥슨의 연결 자회사 네오플은 허민 위메프 대표가 만든 국내 최고 게임 개발사 중 하나로 꼽힌다.
허 대표는 지난 2008년 '던전앤파이터'로 인기가 급상승한 네오플을 3800억원이라는 거액에 매각하고 화려하게 게임업계를 떠났다.
일각에선 허 대표가 넥슨과의 매각 협상에서 그 만의 배짱 전술로 시장의 예상치보다 더 큰 금액을 얻었다는 주장이다. 실제 당시 네오플의 매각 금액은 넥슨의 1년 매출과 비슷한 규모의 거액이었다.
매각 이후, 네오플이 중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넥슨의 투자가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지만 당시만 해도 허 대표의 남다른 배짱 덕에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거액을 손에 쥐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이후, 미국으로 떠나 음악과 야구에 시간을 할애한 허 대표는 지난 2010년 위메프의 최대투자자로 나서며 IT 업계로 복귀했다. 또한 독립야구단인 고양원더스를 통해 스포츠매니아의 이미지를 더하며 업계의 괴짜 CEO로 명성을 떨쳤다.
하지만 그의 첫 복귀작인 위메프는 사실상 실패작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수백억원의 거액을 투자하며 위메프를 업계 1위의 소셜커머스 업체로 키워냈지만 매출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이익 탓에 그가 게임업계로 발길을 돌릴 것이라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실제 허 대표는 위메프의 경영권을 넘기고 최대주주 자격만을 갖춘 채, 에이스톰의 '최강의군단', '패스트트랙아시아' 등의 게임업체에 투자를 지속하며 게임계에서 발을 떼지 못하고 있다. 당장의 캐시카우로 자신의 역량을 떨칠 수 있는 게임쪽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셈이다.
이는 그가 세운 위메프가 그에게 큰 재미를 주지 못한 탓이다. 위메프는 지난 2013년 집행한 광고비만 300억원에 육박했고 판촉비는 340억원에 이른다. 더욱이 순방문자수가 1300만명을 넘었지만 실속 없는 행사가 지속되면서 영업손실만 360억원을 기록했다.
더욱이 해소되지 못한 누적적자인 미처리결손금도 700억원에 이르는 형국이다. 그의 친근한 대중적 이미지를 심어준 독립야구단 고양원더스 역시 KBO의 정식 가입이 어렵자, 바로 매각해 버렸다는 점에서 그가 곧 위메프를 떠날 것이라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위메프 측은 소셜커머스 업계의 특성 상, 당장의 수익이 아닌 시장 점유율이 곧 가치를 뜻한다며 이 같은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영업손실이 수년 째 지속되고 있고, 최근 벌어진 '갑질논란'과 거짓말 행보로 여론마져 악화되면서 허 대표가 위메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없어보인다는 게 게임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또한 최근 경쟁사인 티켓몬스터 인수전에 LG유플러스 등 IT 관련 업체가 뛰어들면서 허 대표 역시 위메프를 정리할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소셜커머스가 당장의 수익은 내기 어렵지만 핀테크와 관련해 관련 업계와의 시너지를 내는데는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인수를 노리는 업체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 탓이다.
실제 위메프는 경쟁사인 티몬 인수전에 참여했다는 주장을 퍼뜨리며 위메프의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수차례 언론플레이를 펼쳤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위메프가 허 대표에게 또다른 네오플이 될 수 있을지 이번 위기를 돌파하는 과정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그가 지속적으로 게임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는 소문은 꾸준히 돌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위메프는 이달 초 수습 직원들을 모두 불합격 처분해 갑질 논란이 불거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에 직면했다. 이에 위메프는 지난 8일 이들을 모두 정식 채용하고 사과 보도자료를 배포했지만 고객들의 탈퇴와 불매 운동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뉴스핌 Newspim] 이수호 기자 (lsh599868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