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중국예금 500조원 주식 펀드상품 등으로 대이동

기사입력 : 2015년01월22일 16:44

최종수정 : 2015년01월22일 16:48

인터넷재테크 P2P 대출 상품에도 자금 유입 가속

사진출처: 바이두(百度)


[베이징=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지난 한해 위안화 예금 잔액이 전년 대비 500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활황세 속에서 주식·펀드로의 자금 '대이동' 현상이 두드러졌고, 인터넷금융과 P2P금융으로도 상당한 자금이 흘러들어갔다는 분석이다.

'불마켓 A주' 은행 예금 강력 흡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공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은행들의 신규 위안화 예금액은 9조48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조 위안(한화 약 552조4500억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인들의 예금 규모 감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중국 A주의 강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저축을 강조하던 중국인들이 낮은 금리의 예금 대신 주식 투자로 갈아타면서 은행들의 예금잔액 증가폭이 빠르게 둔화된 것.

2014년 말 11월과 12월 두 달간 상하이종합지수는 1000포인트 가량 급등하며 3000포인트까지 치솟았다. 이 기간 주식거래를 위한 신규 계좌 및 예수금이 크게 늘었고, 신용 대주거래 잔액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자금의 증시 쏠림 현상이 눈에 띄었다고 신경보(新京報)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주식거래를 위한 예수금 잔액은 최초로 1조 위안을 넘어섰고, 신용대주거래 잔액은 불과 6개월 만에 7000억 위안 가량 증가하며 1조1억 위안을 기록했다. 또 2014년 12월 둘째 주 기준 신규 개설 계좌 수는 90만 개에 육박했으며,  중국증권등기결산유한공사(CSDC) 데이터에서는 지난해 12월 상하이와 선전 거래소의 신규 계좌 개설 수가 일평균 12만9000개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하이 및 선전 거래소의 신규 계좌 개설수는 2007년 5월 당시 1만3000개에 불과했었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중신증권(中信證券, 600030SH) 애널리스트는 "증시 상승이 자금의 흐름을 바꾸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연말 대출 잔액이 예년에 비해 크게 웃돌았던 반면, 예금 잔액은 예년보다 눈에 띄게 감소했다"며 "연말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많은 자금이 증시에 유입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A주가 사상 최고점을 찍었던 2007년에도 '예금의 이탈 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고 이 애널리스트는 지적했다.

지난해 11월 한달간 은행계좌에서 증권계좌로 이체된 자금은 2667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이는 11월에만 약 3000억 위안의 자금이 은행 계좌에서 주식계좌로 옮겨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금의 증시 이동 뿐만 아니라 주식 투자를 위해 '빚을 내는' 사례도 늘고 있다. 신경보가 인용한 한 통계에서는 신용 대주 거래 잔액이 지난해 6월 말의 4000억 위안에서 현재 1조1100억 위안으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해 서부증권(西部證券, 002673.SZ) 애널리스트는 "무위험수익률이 낮아지고 투자자들의 리스크 감수 경향이 높아지면서 많은 자금이 증시로 몰려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중국국제금융유한공사(중금공사 CICC)는 올 한해 A주로 약 2조8000억 위안의 자금이 추가로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펀드도 강세, 261조원 유입

증시가 불마켓을 연출하면서 통화펀드·주식형 펀드 등 펀드로도 상당한 자금이 유입되었다.

지난해 말 공모펀드의 순자산가치는 4조54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조5400억 위안, 약 52% 증가했다. 이는 앞서 펀드 순자산가치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7년 당시의 3조2700억 위안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펀드 유형은 단연 머니마켓펀드(MMF)였다. MMF 총 규모는 2조1800억 위안으로 1조3500억 위안이 늘었으며 펀드 순자산가치 증가를 견인했다고 신경보는 보도했다.

그러나 올해는 MMF 홀로 미소 짓고 주식형 펀드는 울상을 지었던 상황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조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나타났는데, 위어바오(餘額寶) 수익률이 2014년 하반기 들어 하락한 반면 증시가 하반기 들어 강세를 보이면서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 분산을 촉진했다는 것이 그 근거로 지적되었다.

한 펀드업계 인사는 "2014년 상반기 바닥을 헤매던 증시가 하반기, 특히 11월 중앙은행의 금리 이후 빠르게 상승하면서 불마켓 장세가 연말에 나타나 지난해 펀드 판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며 "그러나 불마켓이 계속되면 주식형 펀드 판매량이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증시 상황이 양호하면 펀드로의 자금 흐름이 더욱 가시화할 것이라고 이 전문가는 덧붙였다.

물론 수익률이 감소하고 리스크자산가격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은행 예금의 MMF로의 유입은 막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관해 중국 자산운용사 전경재부(錢景財富) CEO 자오룽춘(趙榮春)은 "위어바오는 대중의 재테크 의식을 깨웠다"며 "단기 자금을 MMF와 같은 각종 재테크 수단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MMF는 이미 가장 기본적인 자금투자처가 되었다"고 말했다.

주식과 펀드뿐만 아니라 기타 재테크 상품과 인터넷 개인 대출 상품인 P2P 대출도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중국 전국은행업이재(理財, 재테크)정보등기시스템 데이터에 따르면, 2014년 6월 말 기준 전국 498개 은행에서 재테크 상품을 출시 및 신고했으며, 이들 재테크 상품 규모는 총 12조6500만 위안으로 2013년 말 대비 2조4100 위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대출자문전문업체 왕다이즈자(網貸之家)에 따르면, 2014년 12월 말 기준 P2P금융 업계의 대출잔액은 1036억 위안으로 2013년의 3.87배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잔액이란 P2P금융 플랫폼을 통해 자금을 빌려주고 아직 상환되지 않은 자금의 액수를 가리키며, P2P금융으로의 자금 유입 규모를 엿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신경보는 "조 단위의 예금 규모에 비해 P2P금융 업계의 투자자금 흡수능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투자처로서의 잠재력은 간과할 수 없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민주 47.4%·국민의힘 34.3%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율은 오르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하락해 양당의 격차는 13.1%포인트(p)로 벌어졌다. 한때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았던 18~29세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민주당 지지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0일 발표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7.4%로 직전 조사 대비 0.1%p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4.3%로 직전 조사 대비 0.5%p 하락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4.10 ace@newspim.com 조국혁신당은 3.9%에서 4.0%로 0.1%p 상승했다. 개혁신당은 2.0%에서 1.9%로 0.1%p 하락했다. 진보당은 1.2%에서 0.8%로 0.4%p 떨어졌다. 기타 다른 정당은 1.5%에서 3.5%로 2.0%p 올랐다. 지지 정당 없음은 8.7%에서 7.2%로 1.5%p 줄었다. '잘모름'은 0.7%에서 1.0%로 0.3%p 올랐다. 연령 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만 18~29세는 민주당 55.8%, 국민의힘 24.2%, 개혁신당 6.5%, 진보당 1.5%, 기타 다른 정당 2.9%, 지지 정당 없음 9.0% 등이다. 30대는 민주당 39.3%, 국민의힘 34.7%, 조국혁신당 4.9%, 개혁신당 3.0%,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9.3%, 지지 정당 없음 7.4% 등이다. 40대는 민주당 60%, 국민의힘 27.4%, 조국혁신당 2.7%, 개혁신당 1.0%,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1.2%, 지지 정당 없음 6.5%, 잘모름 0.6%다. 50대는 민주당 51.1%, 국민의힘 29.4%, 조국혁신당 7.3%, 개혁신당 0.5%,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8.1%, 잘모름 1.4%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42.3%, 민주당 39.8%, 조국혁신당 7.5%, 개혁신당 0.6%,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4.3%, 잘모름 2.2%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49.2%, 민주당 36.3%, 개혁신당 0.6%, 기타 다른 정당 4.8%, 지지 정당 없음 7.9%, 잘모름 1.3% 등이다. 지역 별로는 보수 지지자가 많은 영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민주당 46.4%, 국민의힘 34.6%,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2.7%, 진보당 1.6%,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9%, 잘모름 1.0%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당 48.3%,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4.0%, 지지 정당 없음 7.6%, 잘모름 0.9%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2.0%, 국민의힘 27.0%, 개혁신당 2.5%, 조국혁신당 1.6%, 기타 다른 정당 4.7%, 지지 정당 없음 12.2%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61.6%, 국민의힘 27.7%, 조국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7.5%,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9%,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7.8%, 잘모름 1.3%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44.8%, 민주당 36%, 개혁신당 3.1%, 조국혁신당 2.9%, 기타 다른 정당 3.0%, 지지 정당 없음 7.2%, 잘모름 3.0%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2.1%, 국민의힘 23.2%, 조국혁신당 8.4%, 개혁신당 1.2%,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2.9%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6%, 국민의힘 37.1%, 조국혁신당 3.9%, 개혁신당 3.2%,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6.6%, 잘모름 0.6%다. 여성은 민주당 48.9%, 국민의힘 31.5%,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0.7%,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5.2%, 지지 정당 없음 7.7%, 잘모름 1.3%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한계허용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한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정권 교체를 원하는 국민들의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정치적 변화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지난 대선 때 '이대남(20대 남성)'과 '이대녀(20대 여성)' 논란이 있었다"며 "이대남들은 국민의힘 지지, 이대녀들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추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4-10 10:00
사진
이재명 47.6% '1강 독주'...2위 김문수 17.9%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후보 1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10일 발표됐다. 이 전 대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전 대표에 이어 안정적인 2위를 차지한 양상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 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8~9일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 시스템(ARS)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호명순서는 가나다순)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이재명 47.6% ▲김문수 17.9% ▲한동훈 4.9% ▲홍준표 4.3% ▲오세훈 3.7% ▲김경수=안철수 2.1% ▲김동연 1.9% ▲유승민 1.8% ▲이준석 1.7% ▲원희룡 1.1% ▲우원식 0.8% ▲김두관=김부겸 0.7%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다른 인물 4.3% ▲없음 2.6% ▲잘 모름은 1.8%였다. 성별로는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남성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보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선호한 반면 여성은 홍 시장보다 한 전 대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여성에서 가장 낮은 지지도를 얻었다. 남성은 ▲이재명 46.7% ▲김문수 19.7% ▲홍준표 5.2% ▲한동훈 4.3% ▲오세훈 3.5% ▲이준석 3.0% ▲유승민 2.5% ▲김동연 2.2% ▲김경수 1.9% ▲안철수 1.8% ▲원희룡 1.6% ▲김두관=김부겸 0.8% ▲우원식 0.4% 순이었다. 여성은 ▲이재명 48.4% ▲김문수 16.2% ▲한동훈 5.4% ▲오세훈 3.9% ▲홍준표 3.3% ▲안철수 2.5% ▲김경수 2.3% ▲김동연 1.8% ▲우원식 1.3% ▲유승민 1.2% ▲원희룡 0.6% ▲김두관=김부겸 0.5% ▲이준석 0.4% 순이다. 이 전 대표를 가장 선호하는 연령층은 40~50대였다. 반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연령대는 70대 이상과 30대였다. 김 전 장관은 60대, 70대 이상에서 20% 넘는 지지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만18세~29세)는 ▲이재명 51.8% ▲김문수 13.1% ▲이준석 5.4% ▲김동연 5.1% ▲홍준표 3.3% ▲오세훈 2.9% ▲유승민 2.7% ▲안철수=한동훈 2.0% ▲김부겸 0.8% ▲김경수 0.7% 로 집계됐다 30대는 ▲이재명 40.7% ▲김문수 15.2% ▲한동훈 7.4% ▲홍준표 6.0% ▲김경수 4.0% ▲유승민 3.2% ▲안철수 3.1% ▲오세훈 2.6% ▲이준석 1.8% ▲원희룡 1.3% ▲김부겸 1.2% ▲김두관 0.5%로 나타났다 40대는 ▲이재명 58.8% ▲김문수 17.3% ▲홍준표 4.1% ▲우원식 2.8% ▲한동훈=안철수 2.3% ▲이준석 1.5% ▲오세훈 1.1% ▲김경수 1.0% ▲김동연=김부겸 0.6% ▲유승민 0.5%로 조사됐다. 50대는 ▲이재명 56.1% ▲김문수 13.3% ▲오세훈=홍준표 4.5% ▲안철수 3.5% ▲한동훈 2.9% ▲유승민 2.2% ▲김동연 1.8% ▲원희룡 1.4% ▲이준석 1.0% ▲김경수 0.9% ▲우원식 0.8% 였다. 60대는 ▲이재명 42.0% ▲김문수 22.5% ▲한동훈 7.6% ▲오세훈=홍준표 5.0% ▲김경수 3.2% ▲유승민 2.2% ▲김동연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1.1%로 나타났다. 70대 이상은 ▲이재명 32.3% ▲김문수 27.0% ▲오세훈 6.1% ▲한동훈 7.6% ▲김경수 3.3% ▲김동연 2.9% ▲김두관=원희룡 2.7% ▲홍준표 2.6% ▲안철수 1.9% ▲이준석 0.7% ▲김부겸 0.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이 전 대표는 호남권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뒤이어 강원·제주, 대전·충청·세종에서 과반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한 전 대표는 부산에서 10.1%로, 두자릿수 지지율을 보였다. 서울은 ▲이재명 46.9% ▲김문수 16.5% ▲한동훈 5.8% ▲홍준표 4.2% ▲유승민 3.3% ▲이준석 3.2% ▲김동연 2.6% ▲오세훈 2.1% ▲안철수 1.7% ▲김경수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0.5% 경기·인천은 ▲이재명 49.4% ▲김문수 22.4% ▲한동훈 3.5% ▲홍준표 3.4% ▲안철수=오세훈 3.2% ▲김경수 1.8% ▲우원식 1.4% ▲유승민 1.2% ▲김두관=이준석 0.9% ▲김동연=원희룡 0.6%로 집계됐다. 대전·충청·세종은 ▲이재명 51.9% ▲김문수 11.8% ▲김동연 4.7% ▲홍준표 4.2% ▲한동훈 3.9% ▲오세훈 3.6% ▲유승민 3.4% ▲이준석 2.5% ▲우원식 1.8% ▲김경수 1.7% ▲원희룡 0.9% ▲안철수 0.6%였다. 강원·제주는 ▲이재명 55.4% ▲김문수 13.0% ▲한동훈 6.8% ▲김동연 6.2% ▲홍준표 3.7% ▲김경수 2.4% ▲김두관=김부겸 1.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재명 40.7% ▲김문수 14.2% ▲한동훈 10.1% ▲오세훈 6.5% ▲홍준표 6.2% ▲김동연 2.8% ▲김경수 1.8% ▲유승민 1.3% ▲원희룡 1.2% ▲안철수=우원식 0.7% ▲김부겸=이준석 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이재명 33.6% ▲김문수 23.5% ▲오세훈 9.5% ▲홍준표 6.9% ▲한동훈 4.9% ▲원희룡 3.0% ▲안철수 2.8% ▲유승민 2.7% ▲김부겸 2.2% ▲이준석 2.1% ▲김경수=김두관 1.0%였다. 광주·전남·전북은 ▲이재명 59.4% ▲김문수 14.6% ▲김경수 6.0% ▲안철수 3.6% ▲이준석=홍준표 2.2% ▲원희룡 2.1% ▲김부겸 2.0% ▲김동연 1.0% ▲김두관 0.9%이다. 지지정당별로는 차이가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이재명 87.9% ▲김동연 2.5% ▲김경수 2.4% 순이었고, 조국혁신당은 ▲이재명 64.9% ▲안철수 6.2% ▲김문수 4.8% 순이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김 전 장관을 가장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46.3% ▲한동훈 12.4% ▲홍준표 11.3% 순이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이준석 40.8% ▲유승민 16.2% ▲안철수 14.6% 순이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은 다가오는 조기 대선은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며 이재명 세력을 막아내는 것이 국가 정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라고 하면 오히려 코끼리를 생각하게 되는 것처럼 오히려 여론조사 결과는 이재명 전 대표의 주목도를 더 높여서 1강체제를 굳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이 전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라고 언급한 것처럼 본인 지지층을 넘어서 영남과 중도층 등으로 지지층을 확대해 '이재명 대 反이재명' 구도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숙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보수 후보들중에서는 김문수 전 장관이 지지율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 조사대비 하락했으며, 다른 보수 후보들 또한 평균 이하로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eyjin@newspim.com 2025-04-10 10: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