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20년 1만개 스마트공장' 적극 지원"
[뉴스핌=김연순 기자] 조 케저 지멘스 회장은 14일 "제조업이 디지털화 수순을 밟으리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제조업도 디지털화에 적극 나서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케저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NAEK) 2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에서 '제조업 패러다임의 전환:제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길'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 |
| <사진제공=지멘스> |
이날 강연에서 그는 "제조업의 변화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디지털화'일 것"이라며 디지털화를 축구경기에 비유했다.
전반전은 소비자부문의 디지털화 즉 B2C로, 한국과 독일이 강한 면모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스마트폰과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기 부문에서 세계 선두 자리에 섰고, 가장 큰 승자는 애플과 구글 등 미국 기업이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케저 회장은 "구글처럼 디지털 영역에서 성공한 기업이 무인자동차에 뛰어드는 등 전통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며 "제조업이 경제의 핵심인 만큼 디지털화에 사활을 걸고 후반전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새로운 장이 열렸고 디지털화는 제조업과 같은 전통 산업에도 침투하고 있다"며 "'어떤 것을 생산할 것인가'보다는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를 더욱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화를 가장 잘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며 ▲ 중소기업의 참여 ▲ 데이터 보안·권리에 관한 고민 ▲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국가교육 시스템 조정 등을 제시했다.
그는 "대기업이 디지털화 시장을 독점해 중소기업을 몰아내거나 고립시키는 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며 "중소기업의 도태를 막기 위해 정부의 디지털화 정책은 R&D 분야와 표준화 단계부터 중소기업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데이터는 국가간 자유롭게 이동하고 접근하는 동시에 민감한 기업 고유 데이터는 보호받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치적인 리더십과 전세계적인 합의와 함께 디지털 영역에 대한 균형있는 국제정책과 실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화는 일하는 방식을 바꿀 것이고 향후 IT·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이라며 현직 근로자 자질의 '재정비'를 강조했다.
동시에 케저 회장은 "모든 기업이 '업그레이드'를 해서 디지털화를 준비해야 한다"며 "지멘스는 한국의 2020년 1만개 공장 스마트화 비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독일 베를린과 뮌헨에 본사를 둔 지멘스는 전력사업과 메디컬 영상, 임상진단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전세계 200여개국에서 34만40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연순 기자 (y2ki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