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기업] 중국 '반도체굴기'의 프론티어 '칭화유니'

기사입력 : 2016년08월04일 09:27

최종수정 : 2016년08월29일 15:16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일 오후 5시4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그룹(淸華紫光)이 국영 반도체 기업 우한신신(武漢新芯 ·XMC) 지분을 인수한 것을 놓고 세계 반도체 업계는 이번 인수 조치가 반도체 시장의 신흥 강자가 되려는 '중국의 야심'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덩치를 키운 칭화유니를 앞세워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반도체 산업 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실제로 XMC인수도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이하 집적회로펀드)의 주선으로 성사됐다. 칭화유니그룹이 XMC 지분 50%를 갖고, 나머지 지분은 집적회로펀드와 우한시 정부 소유 펀드사가 보유하게 된다. 

특히 칭화유니가 대규모 지분을 인수한 XMC는 기술적 측면에서 칭화유니를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져 양사의 '연합'이 향후 전세계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XMC는 미국에 있는 반도체 기업 스팬션과 함께 3D 낸드플래시 기술을 개발해왔고, 32단 적층 칩의 양산단계에 도달했을 만큼 기술력을 끌어올렸다.

◆ 정부를 등에 업은  '칭화대' 소속 반도체 국유기업 

중국 '반도체 굴기(堀起, 부흥을 뜻하는 중국식 표현)'의 기수를 맡게 된 칭화유니그룹은 중국 최고의 이공계 명문대 칭화(淸華)대학에서 세운 중국의 대표적 반도체 기업이다. 칭화유니그룹의 중국어 명칭 '쯔광(紫光 보라색 빛이라는 의미)'도 칭화대학을 상징하는 색상인 보라색에서 따온 것이다. 

1988년 설립된 후 2010년 민간 자본을 유치, 혼합소유제를 도입한 후 2013년 중국 반도체 기업 잔쉰(展訊)을 인수하면서 집적회로 산업에 진출했다. 이후 2014년 중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28nm SoC 스마트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는 등 중국 반도체 업계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5년부터는 집적회로 분야를 기업 핵심 사업으로 정하고 반도체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국가 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 국가개발은행과 함께 300억위안 규모의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정부의 전폭적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시장에서 칭화유니는 이미 상당한 입지를 다진 상태다. 자회사인 쯔광잔루이(紫光展銳)의 경우 전세계 스마트폰 반도체의 1/3, 20% 이상의 SIM카드를 이 업체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삼성, 화웨이, 레노버, HTC, TCL, Micromax 등 국내외 스마트폰 업체에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으며, 삼성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반도체의 1/3이 쯔광잔루이 제품이다. 쯔광잔루이는 2016년 전 세계에 6억 5000만개의 반도체를 공급할 계획이다. 쯔광잔루이는 칭화유니그룹이 2013년과 2014년 각각 인수한 잔쉰(展訊)과 루이디커(銳迪科)가 합병해 설립된 회사다. 이 업체는 2015년 4월 28nm LTE, WCDMA SoC 반도체 양산에 돌입하면서 칭화유니그룹과 중국의 반도체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칭화유니는 반도체 공장 건설 설립을 발표했다. 칭화유니 대표 자오웨이궈가 경영하는 둥팡궈신(東方國芯)이 800억위안 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600억위안은 공장 건설에 투입하고, 37억9000만위안은 대만 반도체 업체 리청(力成) 지분 25% 인수에 사용, 나머지 162억1000만위안은 반도체 다운 스트림 업체 인수에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칭화유니그룹에 거는 중국 정부의 기대도 크다. 성공적으로 혼합소유제도를 도입, 기술 혁신과 기업 성장에 성공한 '모범 기업' 인 데다, 반도체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 등 현 정부 지도자는 물론 후진타오 전 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 등도 칭화유니그룹을 방문해 시찰한 바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다른 반도체 기업보다 칭화유니그룹의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이 더 우수하다고 본다. 칭화유니그룹은 국유기업이지만 민간 전문가가 회사를 경영하고 있고, 민간 투자금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공격적인 기업 인수, 우회상장 노린 전략적 선택

칭화유니는 지난해부터 대규모 기업 인수를 추진해오고 있다. 대표 자오웨이궈(趙偉國)의 진두지휘 아래 칭화유니는 올해 상반기에만 14개 상장사의 지분에 투자했다. 2009년 칭와유니 이사장에 취임한 후 자오웨이궈 대표는 인수합병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2013년부터 올해까지 지분 인수에 투자한 자금이 1000억위안 이상이다. 

지분 투자는 반도체 업종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 개발 기업인 양광구펀陽光股份, 화학섬유 업종인 신룽홀딩스(欣龍控股), 반도체 설비 업체인 *ST중파(重罰), 의류제조업 랑사구펀(浪莎股份) 등이 칭화유니가 투자한 기업들이다.

이 같은 투자 전략에 대해 자오웨이궈 대표는 순수한 '재무적 투자'라고 선을 긋고 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칭화유니그룹이 A주 우회상장을 위한 '쉘기업'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유력한 '증거'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ST중파에 대한 지분 확대 움직임이다. 올해 1월 칭화유니그룹은 *ST중파에 대한 지분을 5.08%로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고, 현재 이 기업에 대한 보유 지분 비율은 7.99%로 늘어났다. 문제는 칭화유니가 지분을 확대하기 하루 전 *ST중파가 엄청난 규모의 적자 실적을 발표하며 상장폐지 위험성을 알렸다는 것. 시장 퇴출이 임박한 기업에 대규모 지분을 투자한 것이 결국 우회상장을 위한 것이라고 시장은 분석하고 있다.

칭화유니그룹이 투자한 다른 기업들도 낮은 밸류에이션과 주가, 지분 분산, 실적 불량 등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우회상장을 준비 중이라는 시장의 예상에 힘이 실리고 있다. 

 ◆ '시대'가 배출하고 '칭화'가 키운 '기회'의 사나이, 자오웨이궈 대표 

칭화유니그룹의 자오웨이궈 대표는 반도체 업계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에서도 유명한 인물이다. 올해 1분기 지분을 인수한 14개 회사 외에도, 최근 1년 동안 자오 대표의 지휘 아래 칭와유니가 지분을 인수한 기업은 11개에 달한다. 금액으로는 600억위안 규모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자오웨이궈는 모교인 칭화대학 인맥을 통해 기업을 인수, 약 20억달러의 재산을 축적했다. 

특이한 점은 자오웨이궈가 개인 기업을 경영하는 억만장자이자 칭화유니라는 중국 반도체 대표 국유기업을 이끌어가는 경영인이라는 것. 중국 국유자산 시스템에서 보기 드문 사례다. 현재 자오웨이는 2004년 설립한 젠쿤투자그룹이 대표이자 칭화유니 이사장을 겸하고 있다.

자오웨이궈의 인생과 성공에서 '칭화대학'은 빠지지 않는 핵심 키워드다. '칭화대학'을 통해 그는 부와 명예, 사회적 지위를 모두 거머쥐게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67년 신장(新疆)의 한 산촌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려선 돼지와 양을 키우며 배고픈 시절을 보냈다"고 어린 시절을 회고한 바 있다. 

그러나 1985년 칭화대학 전자공학과에 입학 한 후 그의 인생은 달라졌다. 칭화대를 졸업한 그는 중국 IT업계에서 10년 동안 엔지니어로 활동했고, 그 사이 둥팡궈신을 창립했다.

훗날 칭화대에서 다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칭화유니그룹에 입사하게 됐고, 1997년 칭화유니를 떠나 막 증시에 상장한 칭화대학의 또 다른 과학기술 회사 칭화둥팡에 합류하게 된다.

당시 무섭게 피어오르던 IT '버블'과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도 자오웨이궈를 성공의 길로 인도했다. 1998년 그가 50만위안을 투자해 의료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열었고, IT 열풍 덕에 그는 어렵지 않게 500만달러의 벤처투자를 유치할 수 있게 됐다. 

큰 돈을 쥐게 된 자오 대표는 2004년 100만위안을 가지고 고향인 신장으로 돌아가 부동산 개발업에 뛰어들었다. 경제성장과 함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던 시기와 맞물려 자오 대표의 부동산 사업도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100만위안으로 시작한 부동산 사업은 불과 5년 만에 45억위안의 수익을 창출했다.  

자오 대표는 "2003~2008년 중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던 시기다. 부동산 투기 열풍도 극에 달했다. 그 당시 나는 돈을 버는 게 아니라 돈을 '찍어내는 수준'에 달했다"고 회고했다.

자오 대표는 기회를 포착하는 예민한 후각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미 억만장자 반열에 오른 그는 칭화유니그룹의 혼합소유제 추진 과정에서 또 다른 성공의 기회를 엿보게 된다.

2009년 칭화유니그룹은 자오웨이궈가 세운 '베이징젠쿤투자공사'의 자금을 유치했고, 같은 해 6월 칭화대학교의 추천으로 칭화유니그룹 총재에 오르게 된다.

자오 대표는 "당시 칭화대학 산하 기업 가운데 칭화유니의 상황은 매우 좋지 않았다. 운영 상황이 워낙 좋이 않아 내가 투자할 기회를 얻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자오웨이궈 개인 기업인 젠쿤그룹이 칭화유니그룹의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사진
최정, 500홈런…한화 12연승 끝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가 7연승 중이던 NC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간판타자 최정의 KBO리그 첫 통산 500홈런을 자축했다. SSG는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3으로 승리했다. 11일 KIA와 더블헤더부터 3연승을 달린 SSG는 NC를 제치고 4위 삼성과 승차 없는 5위에 올라섰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 최정이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회말 500호 홈런을 날린 뒤 포즈를 취했다. [사진=SSG]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최정은 0-2로 뒤진 6회말 2사 1루에서 NC 선발 라일리 톰슨의 6구째 시속 135㎞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왼쪽 펜스를 넘기는 시즌 5호 110m 동점 투런포를 쐈다. 500홈런이기에 앞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무실점으로 호투하던 톰슨에게 일격을 가한 귀중한 한 방이었다. SSG는 곧 이은 7회초 서재철에게 적시타를 허용해 2-3으로 뒤졌으나 8회말 대거 4점을 뽑으며 역전에 성공했다. 선두 박성한의 볼넷과 최정의 내야 안타로 만든 무사 1, 2루에서 한유섬의 2루타로 3-3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라이언 맥브룸이 고의볼넷을 얻어 만든 무사 만루에서 최준우의 역전 2타점, 1사 후 정준재의 쐐기 1타점 적시타로 점수 차를 벌렸다. 류현진. [사진=한화] 한화는 두산과 대전 홈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3-4로 졌다. 12연승이 중단된 한화는 이날 4연승한 LG에 공동 선두를 허용했다. 두산은 3-3으로 맞선 연장 11회초 강승호의 볼넷 후 대주자로 나간 전다민을 1루에 두고, '1할 타자' 임종성이 좌익선상에 떨어지는 2루타를 날려 귀중한 결승점을 뽑았다. 반면 한화 선발 류현진은 6이닝을 6탈삼진 6안타 1실점으로 막았지만 팀에 승리를 안기지 못했다. 한화는 1-1로 맞선 6회말 무사 만루에서 노시환이 투수 앞 병살타로 물러난 게 뼈아팠다. 연장 11회말에는 노시환의 안타 후 대주자로 나간 이상혁이 채은성의 삼진 때 2루 도루에 실패했다. 이날 두 팀은 한화가 8명, 두산이 6명의 필승조 투수를 모두 투입하는 총력전을 펼쳤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삼성 르윈 디아즈가 13일 kt와 대구 홈경기에서 5회시즌 16호 투런홈런을 날린 뒤 다이아몬드를 돌고 있다. [사진=삼성]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수석·투수·타격 코치를 교체한 삼성은 kt와 포항 홈경기에서 접전 끝에 5-3으로 승리, 최근 8연패에서 탈출했다. 삼성은 2회말 1사 만루에서 구자욱이 2타점 중전안타로 2-0을 만들었고, 5회말에는 홈런 선두 르윈 디아즈가 시즌 16호 우월 투런홈런을 날려 4-0으로 달아났다. 삼성 선발 이승현은 5이닝을 5안타 무실점으로 막아 시즌 5연패 뒤 첫 승을 신고했다. 반면 kt는 6연패에 빠졌다. 오스틴 딘. [사진 = LG] 잠실에선 LG가 키움을 9-6으로 따돌리고 4연승을 달렸다. 초반 6점 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6-6으로 동점을 내준 LG는 7회말 오스틴 딘의 솔로 홈런으로 다시 리드를 잡았다. 오스틴은 1회에도 선제 솔로홈런을 날려 한 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LG는 8회말에는 홍창기와 문성주의 연속 안타로 2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그러나 LG는 이날 시즌 첫 홈런을 신고하기도 한 붙박이 톱타자 홍창기가 9회초 수비 중 다리를 크게 다쳐 웃을 수 없는 하루가 됐다. 김도영. [사진 = KIA] 광주에선 KIA가 김도영의 결승 2루타를 앞세워 롯데를 4-1로 꺾었다. KIA는 5회말 한승택과 박찬호의 안타로 만든 2사 1,2루에서 김도영이 좌중간 2루타를 터뜨렸고, 최형우가 중전 적시타를 날려 3-0을 만들었다. 8회말에는 김도영의 좌전안타와 볼넷 2개로 만든 무사 만루에서 변우혁의 유격수 병살타 때 1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KIA 선발 김도현은 5.1이닝을 4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막아 2승(2패)를 올렸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3 22:5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