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조동석 기자] 16일 국회심사가 시작된 추경예산안. 추경편성의 핵심 중 하나는 조선업 지원이다. 정부는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으로 대량 실업이 우려된다는 이유에 이번 추경의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조선업 지원을 위해 61척(538억원)의 선박을 신규 건조하고, 이미 건조에 착수한 31척의 선박에 대해 투자금액을 확대(869억원)했다.
![]() |
선박건조 물량 확대는 수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소의 운영과 인력유출 방지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추진 중인 일부 선박 건조사업의 추진이 지연되는 가운데, 추경예산부터 확보해 놓고 보자는 것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추경 예산 집행이 서너달밖에 남은 상황에서 설계와 사업자 선정이 늦어지면 건조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본 예산을 쓰지 못한 상황에서 추경예산을 쓸 겨를도 없다는 의미다.
이렇게 되면 구조조정 후폭풍을 차단한다는 추경의 취지가 퇴색한 채, 예산 확보 전쟁만 있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해양수산부의 관공선과 수산자원조사선 건조에 책정된 본 예산은 82억4100만원과 96억4200만원. 지난해 이월액까지 합치면 134억7200만원, 99억500만원에 달한다. 올 6월까지 집행률은 각각 29.1%, 2.1%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이번 추경에서 7억7000만원과 18억원이 증액됐다.
국민안전처의 유류방제정과 환경부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순찰선은 아예 손도 못댔다. 마찬가지로 8억, 39억원의 추경 예산이 편성됐다.
집행률 1%에 불과한 교육부의 국립대학노후선박 건조에는 500억원의 추경예산이 또 투입된다.
선박 건조는 수년간 진행되는 사업이다. 첫해 실적부진이 다음해 사업추진에 영향을 미쳐 전체 사업 관리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결위는 “이번 추경예산은 선박 건조를 통한 조선 경기 침체 극복에 그 목적이 있는 만큼 과거 사례처럼 집행부진이 발생할 경우 추경편성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