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라희 관장 <사진=뉴시스> |
[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전격적인 사퇴였다. 중간에 3년의 공백이 있었지만 22년간 삼성미술관 리움(Leeum)과 호암미술관을 이끌었던 홍라희 관장(72)이 지난 6일 돌연 사퇴했다. 삼성문화재단이 발표한 사퇴이유는 매우 간단했다. ‘일신상의 사유’. 재단 측은 “갑작스럽게 결정된 사항이라 확실한 내용은 모른다”며 말을 아꼈다. 이 딱 한줄의 발표 때문에 사퇴배경을 둘러싸고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홍 관장은 지난 17일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되자 지인에게 “모든 것을 내려놓고 싶다”며 참담한 심정을 피력했다고 한다. 이 지인은 ‘이건희 회장이 3년째 병상에 있는 데다, 아들까지 구속됐으니 더 이상 관장직에 전념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21세기형 삼성’으로 쇄신하려는 움직임 감지= 홍라희 관장의 사퇴에는 삼성그룹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래전략실 해체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파악된다. 사상 초유의 ‘총수 구속’사태를 맞은 삼성이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는 등 쇄신에 속도를 내고 있고, 쇄신의 범위도 매우 대대적인 점이 홍 관장에겐 부담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홍 관장은 국내 최대의 사립미술관이자 글로벌 무대에도 널리 알려진 Leeum에 큰 애정을 품고 ‘총디렉터’로 활약해왔다. 그러나 이번의 폭풍과 ‘삼성 쇄신’이라는 엄청난 물꼬를 피해가긴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미술관 Leeum은 그룹 내 각 계열사의 지원과 협찬을 통해 전시, 작품수집이 이뤄지고 있어 미래전략실 해체는 미술관으로선 빨간 신호등이 켜진 것이나 다름없다.
이같은 변화는 지난 2015년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문화재단과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하며 책임경영에 돌입했을 때부터 감지됐다. 당시 이 부회장은 개혁의 시급함을 피력하며, 불요불급한 부문은 축소하고 ‘미래 100년’을 설계하자고 천명했다. 이후 삼성생명 사옥이 부영에 매각되면서 사옥 내 미술관인 플라토가 폐관되는 등 Leeum은 축소체제로 돌입했다. 결국 매사에 무척 조심스런 성격인 홍 관장이, 일련의 사태 속에서 관장직을 계속 수행하는 것에 압박감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무대에서도 영향력 큰‘마담 홍’= 경기여고, 서울대 응용미술학과 출신의 홍라희 관장은 국내 미술계는 물론, 글로벌 미술계에서도 통(通)했던 인물이다. Leeum이 해외 유명 미술관및 박물관과 활발하게 교류해온 까닭에 국제 무대에서 ‘마담 홍’의 지명도는 꽤 높다. 세계가 알아주는 기업인 ‘삼성’의 안주인으로써, 또 삼성의 미술관을 이끄는 디렉터로써 ‘마담 홍’은 글로벌 뮤지엄 필드에서 두각을 보이는 거의 유일한 한국인이다. 당분간 홍 관장처럼 국제적 네트워크를 갖추고, 영향력을 지닌 인물은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홍 관장은 세계 정상급 미술관인 미국 뉴욕MoMA와 영국 런던의 테이트갤러리의 이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뉴욕 디아(Dia)아트센터와 베니스 팔라조그라시 뮤지엄 등의 보드 멤버(Board of Trustees)이다. 혁신적인 컬렉션과 기획전시로 명성이 높은 이들 뮤지엄과 홍 관장은 수년째 돈독한 관계를 맺어왔다.
홍 관장은 독일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전문매체 아트넷이 매년 선정하는 ‘세계 200대 컬렉터’에도 수년째 이름을 올리고 있다. 또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작품을 수집해온 까닭에 세계 유수의 아트딜러와 미술경매사들이 주목하는 슈퍼고객이기도 하다.
▶명성만큼 사건도 많았던 미술계 파워 1위= 홍라희 관장이 이끌어온 Leeum은 국보·보물을 포함한 고(古)미술품과 근현대 미술품을 두루 보유하고 있다. 홍 관장은 그 중에서도 현대미술 부문을 주로 챙겨왔다. 고미술은 이건희 회장의 관심영역이었다.
이처럼 고미술과 근대, 현대미술을 동시에 아우르는 미술관은 해외에서도 유례가 거의 없다. Leeum을 찾은 세계 저명인사들은 “뭐, 별 것 있겠어”하는 마음으로 들어섰다가 나갈 때는 뻣뻣했던 고개를 숙이고, 감탄을 터뜨린다. 금융귀재 조지 소로스는 미술관 관람 후 “대단하다”며 찬사를 내놓았다. 제대로 된 사립미술관이 태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Leeum은 단연 돋보이는 미술관이다.
허나 명성이 높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이건희, 홍라희 부부는 2007년, 불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해 600억원대의 해외미술품을 구입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당시 문제가 됐던 작품 중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행복한 눈물'은 미술에 문외한인 이들의 시선도 잡아끌었다. 이 작품은 가고시안 화랑이 미국 컬렉터에게 판매해 현재 미국 땅에 있다.
또한 Leeum은 공공성 측면에서 미흡함이 지적되곤 한다. 재벌가 안주인으로 세간의 시선에 매우 신경을 쓰는 홍 관장은 Leeum을 다소 폐쇄적으로 운영해왔다. 공공 미술관이라기 보다는 우아한 프라이빗 뮤지엄에 가깝다는 평도 그래서 나온다. 사적 취향에 충실한 미술관이라는 것.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한 유명작가 작품을 수집하고 있으나 미술관이 지향하는 방향과 컨셉이 명확치 않은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유명작가의 트렌디한 작품을 명품쇼핑하듯 수집하기 보다는 미술관의 지향점을 분명히 하고, 맥락있게 작품을 수집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화된 전시와 컬렉션을 선보일 때 경쟁력이 제고되고, 기업과 국민 또한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으니 말이다.
홍 관장의 후임은 정해지지 않았다. 당분간은 홍 관장의 동생인 홍라영 총괄 부관장과 이준 부관장이 미술관을 이끌 예정이다. 미술관측은 4월 김환기 전 등 올해 예정된 전시는 원안대로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홍 관장의 사퇴는 미술시장에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광범위한 작품수집을 통해 국내 미술시장을 견인해왔던 오너 관장의 퇴진으로 시장은 동력을 잃고,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딜러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영란 편집위원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