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속보

더보기

LG 'G6' 사용해보니...한 손으로 카톡 전송도 편리

기사입력 : 2017년03월20일 14:59

최종수정 : 2017년03월20일 14:59

18:9 비율 디스플레이, 멀티태스킹·사진 촬영 적합

[뉴스핌=김겨레 기자] 지난 10일 출시한 LG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신제품 'G6'는 대화면을 갖추고도 한 손에 쏙 들어왔다.

제품 외관은 볼륨버튼 외에 돌출된 부분 없이 매끄러웠다. 전면 홈버튼은 아예 없고, 후면 카메라도 튀어나오지 않았다.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강화유리를 적용해 지문이 거의 묻어나지 않았다.

 

LG G6 아이스 플래티넘(왼쪽)과 삼성 갤럭시S7 엣지 블루코랄(오른쪽) <사진=김겨레 기자>

G6는 세로·가로 18:9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화면 크기는 키우면서도 제품 자체의 크기는 유지했다. 전작 G5와 비슷한 크기지만 디스플레이는 5.3인치에서 5.7인치로 커졌다. G6의 가로 너비는 지난해 나온 LG V20(5.7인치)나 삼성전자의 갤럭시S7엣지(5.5인치)보다 좁다 

갤럭시S7엣지를 한 손으로 사용하면서 자주 떨어뜨리는 기자에게는 한손으로 키보드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게 G6의 가장 큰 장점이었다. 

     
한 손으로 G6를 쥐고 키보드 전체를 사용하는 모습(왼쪽)과 G6의 화면을 분할해 사용하는 모습(오른쪽). <사진=김겨레 기자>

또 18:9 비율의 '풀 비전 디스플레이'는 화면 분할 사용이나 사진 촬영 때 진가를 발휘했다.

화면을 나누면 가로 세로 1:1 비율의 정사각형 화면 두개를 사용할 수 있다. 위 화면에 문자메시지를 띄워놓고 아래 화면에는 달력을 띄워 일정을 추가하거나, 절반은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나머지 절반은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할 수 있다.

길쭉한 화면 비율을 활용한 '스퀘어 모드' 촬영도 색다른 경험을 제공했다. 화면을 두개로 나눠 위 화면으로는 촬영을 하고, 아래 화면에서는 직전에 찍은 사진을 확인할 수 있어 이전 사진을 보기 위해 촬영을 종료하고 사진첩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었다.

스퀘어 모드로 찍은 사진은 1:1 비율이라 사진 공유 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에 올릴 때 별도로 잘라내는 작업이 필요 없다.

G6의 광각모드로 촬영한 사진(위)과 일반각 모드로 촬영한 사진(아래) <사진=김겨레 기자>

광각 카메라 역시 G6의 강점이다. 가까운 거리의 풍경도 125도의 화각으로 담아내 마치 멀리서 쵤영한 사진처럼 보였다. 후면카메라 뿐만아니라 전면카메라도 광각 촬영이 가능하다. 전후면 카메라 모두 일반각 촬영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영화를 자주 보는 사용자라면 G6를 활용해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G6의 18:9 화면비가 영화관 표준인 2.2:1과 비슷해서다.

G6로 유튜브 영상을 재생한 모습. 양 옆 여백이 생겼다. <사진=김겨레 기자>

하지만 영화보다는 유튜브를 통해 1인 크리에이터의 영상을 많이 보는 편이라면 양 옆에 여백을 감수해야 한다. 유튜브 영상은 대부분이 16:9의 화면비를 따르고 있다.

아울러 한국 소비자들은 아직 모바일 간편결제수단 'LG페이'와 구글의 인공지능 음성비서 '어시스턴스'를 사용할 수 없다. LG페이는 오는 6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며 구글 어시스턴스의 한국어 지원 시점은 미정이다.

 

[뉴스핌 Newspim] 김겨레 기자 (re97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