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추적60분'은 배달대행의 위험성을 알아본다. <사진=KBS 2TV '추적60분' 캡처> |
[뉴스핌=이지은 기자] ‘추적 60분’이 배달대행의 위험성을 파헤친다.
22일 방송하는 KBS 2TV ‘추적60분’에서는 ‘고객 만족 실태 보고 2부작-1편, 죽음을 부르는 배달 전쟁’ 편을 공개한다.
이날 '추적60분'은 24시간 꺼지지 않는 대한민국의 불빛 속을 질주하는 배달대행이 주제다. 전화와 컴퓨터, 스마트폰 한 대로 일상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대 이면에 자리한 불편한 진실을 들춘다.
제작진은 고객, 즉 소비자가 신속함과 편리함을 누릴수록 누군가 더 위험하고 열악한 상황에 놓이는 상황을 보여준다. 특히 배달대행의 심각성이 어마어마하다. 음식은 물론 꽃과 택배, 각종 심부름까지 안 되는 게 없는 배달 서비스가 성행하면서 최근엔 아예 배달만을 전문으로 하는 신종 배달대행업체들이 등장했다.
‘추적 60분’ 제작진은 일명 ‘전투콜 배차’로 불리는 배달대행업체의 배달원 이민재 씨(가명)의 전쟁같은 일상을 따라가봤다.
신호위반과 중앙선 침범은 물론,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무법질주를 하다 보니 아찔한 순간도 한두 번이 아니다. 무엇이 이들을 사고의 위험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인지 분석한다.
지난 2011년, 등록금을 벌기 위해 피자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19세 청년이 사망하면서 이른바 ‘30분 배달제’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확산됐다. 결국 해당 업체는 30분 배달제를 폐지했다.
그런데 지난해, 또 한 명의 패스트푸드점 배달원이 택시와 충돌해 사망하면서 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숨진 배달원이 10분 더 빨라진 ‘20분 배달’에 쫓기고 있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다.
4년 전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오토바이에 올랐던 18세 이상우 씨(가명)는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척추 손상으로 하반신 마비라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배달 중 일어난 사고였던 만큼 이씨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업재해를 인정받았지만, 이후 배달대행 업주는 치료비를 낼 수 없다며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신속배달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공공기관도 마찬가지다. 지난 2월 6일, 15년 간 성실하게 일했던 집배원 조만식(44)씨가 침대에서 홀로 숨진 채 발견됐다. 사인은 돌연사의 대표적 원인인 동맥경화에 따른 심정지였다.
유가족은 건강했던 조씨가 과도한 업무로 사망했다며 정밀부검을 신청했다. 최근 1년 동안 숨진 집배원은 무려 10명. 그 중 대부분은 고 조만식 씨처럼 40, 5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뇌심혈관 질환으로 갑작스런 죽음을 맞았다.
속도에 쫓기고 과로에 시달리는 집배원들의 하루도 공개되는 ‘추적 60분’은 이날 오후 11시 10분에 방송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