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무분규·무쟁의 전제로 전체 직원 임금반납 요구
동의서 2번 써낸 노조 "할 만큼 했다..협박 수준 요구 납득불가"
[뉴스핌=조인영 기자] 채권단의 인력감축·임금반납 요구에 대우조선 노조가 "납득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지난 2년간 임금동결과 무쟁의 원칙을 지킨 상황에서 추가 고통분담 요구는 과도하다는 주장이다.
금융위원회는 23일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대우조선에 신규자금을 넣어 살리기로 했다. 회사채·CP 채무조정 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2조9000억원을 신규지원하는 방식이다. 전제조건으로 노조의 무분규·무쟁의 원칙 유지와 전체 임직원의 임금반납을 요구했다.
![]() |
이에 따라 대우조선은 올해 모든 임직원의 임금반납과 무급휴직을 실시하고 인건비를 2016년 8500억원에서 올해 6400억원 수준으로 축소해야 한다. 전년 보다 25% 줄어든 수치다. 직영 인력은 현재 1만명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9000명 이하로 축소한다.
이미 사무직이 최대 30%까지 임금반납을 하고 있어 실질 적용대상은 생산직이다. 노조가 있는 생산직은 현재 약 6000명 수준으로, 전체 인건비에서 25%의 절감 효과를 보려면 10% 이상 임금을 삭감해야한다. 앞서 회사는 전일 노조에 10% 상당의 기본급을 줄이겠다고 통보한 상태다.
노조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2년간 성과급과 초과수당을 포기해온 상황에서 기본급 추가 삭감은 정상적인 생계 활동에 타격을 준다는 이유에서다.
임성일 노조 정책기획실장은 "성과급 등 일시금을 지난해 한 번도 받지 못했고, 초과수당에 해당하는 잔업특근도 상당히 줄어든 상태"라며 "많게는 2000만원까지 줄어든 상황에서 다시 10%를 줄이라고 하면 생계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대우조선은 2014년 기본급 1만3000원 인상을 끝으로 최근 2년간 임금이 동결된 상태다. 당시 노조는 쟁의 활동 자제와 임금동결 내용을 담은 동의서를 2015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제출했다.
임 실장은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고통분담을 해왔다. 시황 악화를 이유로 협박 수준에 가까운 임금·인력 감축요구는 납득할 수 없다"며 "오히려 회사가 공사 지연이나 미숙련 노동자 투입으로 인건비 손실을 초래해 정상적으로 근무하는 근로자들만 피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채권단이 이해관계자간의 자율적인 채무조정 합의가 불발될 경우 새로운 기업회생시스템(P-Plan)을 통한 기업회생을 추진하겠다며 배수진을 친 만큼 생산직 역시 고통 분담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노조의 판단이 기업의 생사를 결정지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사안이 중대한 만큼 노조도 인건비 축소에 동참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회사를 살리기 위해 노사간 자발적 동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